첨단 시스템을 갖춘 한국형 스마트시티를 수출하기 위해 정부가 본격적인 지원에 나선다. 펀드를 통해 5000억원을 투자하고, 한국이 주도하는 스마트시티 국제협력체계를 구축한다.
'한국형 스마트시티' 수출 팔 걷은 정부
정부는 8일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스마트시티 해외 진출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스마트시티는 정보통신기술(ICT)·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해 제로에너지 빌딩, 통합관제 등을 구현한 도시를 말한다. 정부는 스마트시티를 8대 혁신성장 선도사업의 하나로 선정해 육성하고 있다.

이 방안에 따르면 해외 투자 개발사업의 체계적 지원을 위해 연말까지 민관이 함께 조성 중인 1조5000억원 규모의 글로벌 PIS(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 펀드 중 5000억원을 스마트시티 해외 사업에 투입한다. ‘스마트시티 대·중소기업 동반 진출 지원 프로그램’도 마련한다. 스마트시티 관련 대·중소기업이 해외에 함께 진출하면 중소기업 대상 우대 금융조건(연 대출금리 0.3~1.0%포인트 인하) 혜택을 부여한다.

한국형 스마트시티에 관심이 많은 국가를 중심으로 한국 주도의 국제협력체계 ‘코리아 스마트시티 오픈 네트워크(K-SCON)’도 구축한다. 정부는 2020년 1차 공모를 통해 도시개발·교통 등 프로젝트 주제와 참여 대상을 설정하고, 한국과 참여국의 비용 매칭(비용 분담)으로 사전 타당성조사와 마스터플랜 수립을 거쳐 본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KOTRA는 세계 30곳에 스마트시티 수주 지원센터를, 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는 네 곳에 해외 인프라 협력센터를 설치해 현지 도시개발 사업 지원에 나선다. 정부는 오는 9월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를 열고 전시·콘퍼런스, 기업 설명회, 해외 바이어 행사 등을 통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 엑스포를 세계 3대 스마트시티 국제 행사로 키울 방침이다.

정부는 사업 규모가 26조원으로 추정되는 쿠웨이트 ‘압둘라 스마트시티’(조감도)의 본사업 수주를 위해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한·쿠웨이트 경제 공동위원회를 열고,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주요 협력국과의 경제 공동위도 추진한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