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서울역, 세운상가, 창신·숭인 일대 등 도심 세 곳의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일자리 8만8000여개가 창출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서울시는 지난해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조사‧분석한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고용창출효과’를 8일 발표했다. 도시재생사업이 주변의 민간 개발, 상권 활성화 등으로 이어지며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것이 골자다.

이번 연구는 서울시의 1단계 도시재생활성화지역 13곳 중 가시적 성과가 나타난 서울역 일대, 세운상가, 창신·숭인 등 세 곳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서울역 일대 ‘서울로 7017’과 세운상가 일대 ‘다시세운 프로젝트’ 1단계 사업은 각각 작년 5월과 9월 마무리됐다. 창신‧숭인 지역은 일부 앵커시설이 올해 초 준공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는 3개 도시재생사업에서 총 8만8693명이 새 일자리를 얻게 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서울시 예산이 지속 투입되는 도시재생 사업 4∼5년간과 그 이후 고용유발 효과를 각각 추산해 더한 수치다. 이중 직접 고용효과는 5132명이다. 서울시가 직접 예산을 투입해 공사하거나 사람을 고용할 때 발생한 효과다. 간접 고용효과는 8만6561명 규모가 될 것으로 서울시는 보고 있다. 민간개발사업 추진지역 중 사업계획 내용 등을 반영해 간접고용효과를 추정한 결과다.

서울시는 이번 조사를 토대로 올해 중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모든 지역(총 131개소)으로 확대한 고용유발효과 분석을 벌일 계획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이번 시범연구에서는 물리적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했다”며 “지역 활성화와 관광유발 효과 등 비물리적인 부분까지 합쳐 추산하면 고용 유발효과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가 지나치게 낙관적이라는 시각도 있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1∼2016) 서울 전체에서 늘어난 취업자는 총 11만2000명이다. 도시재생사업지 3곳에서 창출될 것이라고 추산된 일자리 수와 약 26% 밖에 차이 나지 않는다. 도시재생 사업 과정과 시기 등에 따라 파생 효과가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 한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도시재생 후 상권이 어느정도 활성화될지를 장담하기는 어렵다”며 “서울시 연구결과만큼의 고용이 창출되기 위해선 사업지 일대에 꾸준한 투자가 이어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