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중공업의 퇴출로 C&그룹 전체에 비상이 걸렸다. 순환출자와 지급보증으로 얽혀 있는 그룹의 구조상 다른 계열사에도 일정 수준의 충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C&그룹 관계자는 "중공업이 그룹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 직접적인 피해는 심각하지 않다"고 말했다. C&중공업의 작년 매출은 1300억원 수준으로 그룹 전체 매출(1조3000억원)의 10% 수준이다.

하지만 계열사별로 촘촘하게 연결돼 있는 지급보증이 적지 않은 부담이다. C&그룹은 최대한의 자구책을 마련해 최악의 경우라도 C&해운 등 주력 계열사 몇 곳은 살려내겠다는 방침이다. C&그룹은 모회사에 해당하는 해운을 중심으로 우방 상선 중공업 등이 순환출자로 연결돼 있다. 따라서 중공업이 원자재를 조달하면서 지급하지 않은 대금과 선박 건조 지연에 따른 연체금 등을 자체적으로 갚지 못할 경우 이런 부담은 다른 계열사로 차례차례 돌아가게 된다. 중공업의 채무를 계열사들이 감당할 수 없게 되면 그룹 전체가 간판을 내릴 수밖에 없는 구조인 셈이다.

임병석 C& 회장이 경영권을 잃을 공산도 커졌다. 중공업 등 관계 회사의 청산이나 법정관리가 진행되면 임 회장의 대주주 역할은 유명무실해지기 때문이다. 임 회장은 C&해운의 지분 55.3%를 갖고 있다.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절차가 진행 중인 C&우방 등 다른 계열사에 대한 금융권의 부정적인 시각이 증폭될 우려도 높다. 금융권 관계자는 "중공업 퇴출로 C&그룹 전체의 운명이 불투명해졌다"고 진단했다.

C&중공업 관계자는 "C&우방은 일단 주채권은행이 대구은행인 데다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장도 커서 법정관리 등을 통해 새 주인을 찾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라며 "아직 그룹의 와해를 얘기할 단계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한편 채권단의 퇴출 결정 소식에 C&중공업 임직원들은 "퇴출 기준이 뭐냐"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지난달 초 채권단이 워크아웃 개시를 결정한 뒤 제대로 된 실사도 해보지 않고 느닷없이 퇴출 방침을 내리게 된 이유를 납득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회사 관계자는 "시험도 안 보고 시험지를 뺏아버리는 꼴"이라며 "이번 평가 결과를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C&중공업은 이미 워크아웃 신청 기업이기 때문에 이번 평가 대상에 포함되지도 않았다"며 "워크아웃을 앞둔 기업을 일방적으로 퇴출시키는 게 말이 되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 등이 최근 실사기관까지 선정해 놓고 시간만 끌다가 이 같은 결정을 내리는 저의를 모르겠다"며 "법적 대응을 포함한 가능한 모든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C등급(워크아웃)으로 분류된 대한 진세 녹봉 등 3개 조선업체들도 이번 결정을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분위기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