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3일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주역들을 만나 과거 현장 경험 및 노하우 등을 청취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낮 용산 대통령실에서 2009년 바라카 원전 수주와 이후 건설을 주도했던 기업인들과 약 1시간 30분간 오찬 간담회를 했다고 대통령실 김은혜 홍보수석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이날 오찬에는 한국전력과 한국수력원자력을 비롯해 원전 시공을 맡았던 관계 기업의 전·현직 간부들이 참석했다.
한국은 지난 2009년 바라카 원전을 수주했다.
현재 1·2호기가 상업 운전 중으로, 3호기는 가동 준비를 마쳤고 4호기는 내년 완공된다.
윤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지난달 UAE 순방 당시 바라카 원전 3호기 가동 기념식에 참석했던 점을 거론하며 "끝없이 펼쳐진 사막을 지나 우뚝 서 있는 한국형 원전 4기를 보았을 때 정말 자랑스럽고 뿌듯했다"고 말했다.
이어 "UAE에서 우리 대표단이 크게 환대받고, 300억 달러라는 압도적 규모의 투자 유치를 할 수 있었던 것도 모두 여러분의 땀과 헌신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여러분이 바로 형제국인 UAE와의 협력의 상징"이라고 치켜세웠다.
윤 대통령은 "정부는 출범 이후 무너진 원전 생태계를 빠르게 복원시키고 있다"며 "이제 대한민국 최초 수출 원전인 바라카의 '축복'에 이어서 제2, 제3의 성공 사례를 계속 창출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지난해 8월 수주한 이집트 엘다바 원전 건설, 폴란드와의 원전 협력 투자의향서(LOI) 체결 등을 거론하며 "우리 원전의 뛰어난 기술력을 기반으로 더 큰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정부는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여러분의 현장 경험이 앞으로 해외 영업 과정에서 마주할 수 있는 어려움을 풀어나갈 중요한 자산"이라며 기탄없는 의견 제시를 당부했다.
김인엽 전 현대건설 상무는 당시 현지에 투입된 해외 인력 관리와 관련해 "최대 2만2천명의 숙소부터 지어야 해서 난감했던 기억이 생생하다"고 말했다.
바라카 원전 수주 당시 실무자였던 이흥주 한전 해외원전부사장은 "(2009년 당시에) 발주처 사람들에게 우리의 고리 원전, 창원 두산에너빌리티 공장, 대전 핵연료 제조시설 등을 보여줬다"며 "우리의 실적과 설비들을 많이 보여주면서 혹시나 하는 발주처의 의구심을 없애는 게 주효했다"고 회고했다.
참석자들은 "대통령 덕분에 동문회 하는 것 같다"며 농담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간담회를 마치면서 "여러분의 경험을 후배들이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많이 도와달라"고 당부했다고 김 수석은 전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달 16일 UAE 국빈 방문 도중 바라카 원전을 찾아 "추가 원전 협력과 제3국 공동진출 등 확대된 성과를 창출할 때"라고 말했다.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UAE 대통령은 한국에 300억 달러 투자를 약속하며 바라카 원전을 통해 쌓은 양국 간의 깊은 신뢰를 거론한 바 있다.
김재원, 최고위서 "반성·자중"…"전광훈의 '전' 자도 꺼내지 않겠다"金 "반복되면 또 다른 고민 할수 밖에"…이철규 "징계 조치 해당여부 당내 이견" 국민의힘 김재원 최고위원은 30일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를 가리켜 '우파 진영을 전부 천하 통일했다'고 한 발언과 관련해 "진심으로 반성하고 있다"고 사과했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김 최고위원은 "최근 저의 발언으로 국민 여러분께 많은 심려를 끼치고 당에도 큰 부담을 안겨드린 점 진심으로 반성하고 있다"며 "앞으로 더이상 이런 일이 없도록 자중하겠다"고 밝혔다. 김 최고위원은 지난 25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州) 애틀랜타에서 열린 '북미자유수호연합' 초청 강연회에서 "우파 진영에는 행동하면서 활동하는 분들이 잘 없었는데, 전광훈 목사께서 우파 진영을 전부 천하통일을 해서 요즘은 그나마 광화문이, 우파 진영에도 민주노총에도 대항하는 활동 무대가 됐다"며 "우리 쪽도 사람은 있구나, 하는 마음이 들게 한다"고 말했다. 해당 발언이 언론 보도로 알려지며 논란이 일자 당 안팎에서 비판이 쏟아졌고, 징계 요구도 일각에서 나왔다. 이에 김 최고위원은 전날 귀국 직후 SNS에 사과 메시지를 올렸다. 김 최고위원은 앞서 3·8 전당대회 이후 첫 주말인 지난 12일에도 전 목사가 주관하는 예배에 참석해 '5·18 정신을 헌법에 수록할 수 없다'는 취지로 발언했다가 SNS를 통해 공개 사과한 바 있다. 최고위 공식 회의에 나와 직접 사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최고위원은 회의 이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모두 다 제 잘못"이라며 "앞으로 자중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
활동 실적 따라 법제처장 표창 법제처는 현행 법령과 입법예고안에 있는 어려운 용어와 문장을 쉬운 표현으로 새로 쓸 국민참여단 170여명을 모집한다고 30일 밝혔다. 국민참여단에 선정되면 다음 달 24일부터 약 8개월간 법령 속에 있는 어려운 용어나 복잡한 문장을 찾고 검토해 개선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법제처는 참여단 활동 실적에 따라 법제처장 표창이나 봉사활동 실적 인증을 수여할 예정이다. 법령 문장 개선에 관심 있는 사람 누구나 다음 달 16일까지 '법령안 새로 쓰기 블로그'에서 신청하면 된다. /연합뉴스
"尹 방미, '오므라이스 회담 시즌2' 되지 않을지 국민 벌써 걱정"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는 30일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의 전격 교체와 관련해 "며칠째 증폭되기만 하는 국민 우려를 깨끗이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윤석열 대통령은 명백히 이유를 설명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그간 일일이 열거할 수 없는 외교 참사에 끄떡없더니 석연치 않은 이유로 갑자기 경질된 것이 이상하다"며 이같이 촉구했다. 박 원내대표는 "언론 보도에 따르면 김일범 의전비서관 사표 때부터 '안보실 내부 알력 싸움의 결과', '김건희 여사 최측근인 김승희 선임행정관과 외교부 출신 간의 갈등 때문' 등 국민이 납득하기 어려운 사유가 넘쳐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다음 달 있을 (윤 대통령의) 방미를 앞두고 밤새워 전략을 짜도 모자랄 대통령실이 대책은 고사하고 온갖 풍문의 진원지가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4월 말 미국을 국빈 방문할 예정인 윤 대통령에게 우리 기업의 사활이 달려있다"며 "벌써부터 '오므라이스 회담 시즌2'가 되지 않을지 국민은 걱정한다"고 비판했다. 박 원내대표는 "국빈 방문이라는 형식에 취해 또다시 국익과 국민 자존심을 잃는 불상사가 일어난다면 우리 국민은 더 이상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으로서의 자격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박 원내대표는 한덕수 국무총리가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양곡관리법의 거부권(재의 요구권) 행사를 전날 윤 대통령에게 건의한 데 대해 "대일 굴욕외교와 안보실장 경질이라는 불리한 국면을 거부권 뉴스로 한시라도 빨리 덮어보려는 얄팍한 정략적 술수도 한심할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