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 지원계획 수립·직업훈련 지원 담은 조례 토론회
은둔형 외톨이들, 조화로운 생활 회복 돕는 조례 제정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소득 감소와 관계 단절 등으로 인한 '은둔형 외톨이'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12일 오후 부산시의회 의원회관 지하 회의실에서는 시의회 복지안전위 더불어민주당 김광모 의원을 비롯해 청년지원 관련 전문가, 부산진구와 서구 사회복지관 담당자, 시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조례 제정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사회복지관 담당자들은 부산지역 은둔형 외톨이 사례를 소개하며 조례 제정을 계기로 관련 논의와 관심이 지속하기를 기대했다.

주요 사례를 보면 서구에 사는 A(23)씨는 대학 진학 문제로 부모와 갈등을 겪던 2017년 공황장애 진단을 받았다.

우여곡절 끝에 대학에 들어가긴 했으나 입학 후 곧바로 자퇴하고, 외부 활동을 모두 중단했다.

사회복지관은 2019년 부모를 통해 A씨를 알게 돼 안부 문자나 복지관 프로그램 참여 독려 등을 하며 관리에 나섰다.

직접적인 만남을 거부하던 A씨는 지난해 2월 복지관 관계자와 처음으로 전화 통화를 한 데 이어 직접 만나 대화까지 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A씨는 어딘가 불안해 보이는 모습으로 누가 질문을 해도 짧은 답변만 했다.

부산진구에 사는 B(30)씨는 어머니와 단둘이 산다.

아버지는 직장암으로 이미 세상을 떠났고, 어머니는 소아마비로 거동이 불편하다.

B씨는 대학교 자퇴 이후 8년간 가족과 단절된 채 간식 구매나 미용실 방문 등 필요에 의한 외출 외에는 본인 방에서만 생활하고 있다.

같은 지역 C(24)씨는 일상 대화 중에도 전문용어를 쓴다.

맥락에 맞지 않는 답변은 물론 세상사에 관심이 없는 듯한 말투 등으로 타인과 관계 형성이 불가능한 상태다.

C씨는 하루 대부분 시간을 게임에 쓰고 있어, 일상적인 생활이 안 되고 있다.

이들 세 청년을 은둔형 외톨이라고 부른다.

은둔형 외톨이는 일정 기간 이상을 자신만의 한정된 공간에서 외부와 단절된 상태로 생활해 정상적인 사회활동이 현저히 곤란한 사람을 뜻한다.

일본에서는 이를 '히키코모리'라고 했는데 1990년대부터 사회문제로 급부상하면서 활발한 논의가 이뤄졌으나 국내에서는 공식적인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시의회는 은둔형 외톨이가 지역사회 구성원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조례 제정에 나섰다.

우리나라에서는 광주시가 2019년 10월 15일 '광주시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를 제정한 데 이어 서울 양천구도 지난해 10월 29일 '사회적 고립청년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가칭 '부산시 은둔형 외톨이 지원조례'는 복지서비스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해 은둔형 외톨이 발생을 예방하고,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조화로운 생활 회복과 성장을 목표로 한다.

세부 계획으로 매년 지원 계획 수립, 현황 및 실태 조사, 예방 사업 및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고용 및 직업 훈련 지원, 전문인력 양성 등이 담겼다.

은둔형 외톨이들, 조화로운 생활 회복 돕는 조례 제정한다
김광모 의원은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사회로의 전환 가속화와 경기 침체로 인한 취업난 및 실직 증가 등 은둔형 외톨이를 발생시키는 환경은 가속화하고 있다"며 조례 필요성을 설명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전성신 니트컴퍼니 공동대표는 "지역과 기간적 한계를 넘는 플랫폼, 유형과 상황에 따른 서비스, 일에 대한 다양한 기회와 경제적 안전망 제공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문유진 복지국가청년네트워크 대표는 "청년 문제는 개인 문제가 아닌 사회 문제이며 불평등이 누적된 결과"라며 상시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 청년 공간 활용, 사각지대 발굴 등을 당부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기존 조례와의 중복 방지와 효율적인 정책 추진을 위해 지원대상과 지원사업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며 "효율적인 정책 추진을 위해 은둔형 외톨이 주 연령층인 청년층 지원사업 추진이 타당하다"는 의견을 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