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릴 미·북 정상회담이 남·북·미 3자 정상회담과 종전선언까진 연결되지 못할 것이란 회의론이 확산되고 있다.

청와대는 회담이 불과 닷새 남은 7일에도 미국 정부로부터 3자 회담 참석 관련 통보를 받지 못했다. 이 때문에 이번 회담에선 북한 비핵화에 의제가 집중돼 종전선언이 나오기가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고, 정전협정일인 7월27일 또는 그 이전을 새로운 시기로 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도 “미·북 정상회담 자체에 의미가 있다”며 한발 물러섰다.

미국 국무부 역시 종전선언과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이 미·북 회담 개최 기간 싱가포르를 방문하는 데 대해 불편한 기색을 내비쳤다. 헤더 노어트 미 국무부 대변인은 5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종전선언과 관련한 질문을 받고 “그와 관련한 타이밍과 어떤 일이 일어날지에 대해선 예측하기 어렵다”며 “다만 종전선언이 트럼프 행정부에 중요한 일이란 점은 알고 있다”고 말했다. 또 종전선언과 관련한 문 대통령의 싱가포르 방문 가능성에 대해선 “그건 결론이 나지 않았으며 한국 정부에 물어봐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런 가운데 싱가포르 교민 사회에서 서훈 국가정보원장을 현지에서 목격했다는 얘기가 확산되고 있다. 미국과 북한의 협상에 따라 성사될 수 있는 남·북·미 3자의 종전선언을 준비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보기관과 그 수장에 관한 일은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정전협정 당사국인 중국은 종전선언이 남·북·미·중 4자 형식이 되길 원한다. 하지만 현재 미국과 무역 마찰 등 여러 문제로 대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같은 주장을 활발히 펼치긴 쉽지 않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6일 미·북 정상회담 취소를 선언하면서 ‘김정은이 시진핑을 만난 뒤 태도가 바뀌었다’고 중국을 향해 불만을 표출했다.

외교부는 7일 정례브리핑에서 “종전선언이 가급적 조기에 발표될 수 있도록 남·북·미 3자 간에 지속적으로 긴밀해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원론적인 입장만 강조했다.

지난 4월27일 열린 남북한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판문점 선언’엔 “올해에 종전을 선언하고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하며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회담 개최를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다”는 문구가 명기돼 있다.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 1일 백악관에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을 만난 후 기자들에게 “6·25전쟁의 종전선언에 대해 이야기했으며, 종전선언 관련 논의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