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美 대통령이 24일 밤 6·12 북미정상회담 무산을 발표하면서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북미 정상 간 대화를 촉구하면서 본격적인 중재자 역할에 돌입했다.

북미정상회담을 얼마 남겨두지 않은 시점에서 두 정상 간 역사적인 만남에 제동이 걸리자 문 대통령은 깊은 유감을 표명했지만, 한반도 평화에 대한 의지를 재천명하면서 당사국 정상들의 직접대화를 촉구하고 나선 것이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 취소를 공식 발표한 날 밤늦게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들을 긴급 소집했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지금의 소통방식으로는 민감하고 어려운 외교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정상 간 보다 직접적이고 긴밀한 대화로 해결해 나가기를 기대한다"는 뜻을 밝혔다.

북한과 미국이 6·12 싱가포르 북미회담이라는 성과에 도달했음에도 불구하고 회담 성공의 열쇠인 비핵화를 둘러싼 구체적인 방법론을 놓고 양국가간 관료들의 발언 수위가 점점 높아지며 협상 테이블이 깨졌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핵 폐기라는 민감한 문제 앞에서 샅바싸움이 거칠어지다 결국 서로의 레드라인을 넘나드는 발언이 이어지면서 일이 틀어지게 됐다는 인식으로도 읽힌다.

청와대는 "상황이 어려운 만큼 (북미) 두 정상이 직접 소통할 수 있는 방식을 찾아 긴밀하게 대화를 해나갔으면 좋겠다는 게 대통령의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비핵화를 전제로 한 북한의 체제보장을 지속해서 직접 언급했음에도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과 최선희 외무성 부상 등이 미국을 맹비난한한 게 미국 내 강경파들에게 힘을 실어줬고 이것이 회담 취소의 주요 사유로 작용했다는 것이 미 외교가의 판단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 취소 결정 이유로 "북한의 최근 발언에 기초해 싱가포르 정상회담을 종결하기로 했다"고 한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주목할 부분은 문 대통령이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온 당사자들의 진심은 변하지 않았다"고 한 대목이다. 전 세계가 고대하던 6·12 회담이 취소되면서 단기적인 경색 국면은 불가피해졌지만 현 상황이 북미 간 전쟁도 불사할 것 같았던 이전 상황과 비교했을 때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판단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도 '판을 깨지는 않겠다'는 북미 정상의 공통된 메시지를 토대로 양 측간 접점의 영역을 넓히는 데 혼신을 다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북미회담의 취소가 장기적으로는 더 나은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성장통'으로 보는 시각도 없지 않다. 따라서 중재자 역할을 하고 있는 문 대통령의 역할이 그 어느때보다 중요해지는 시점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자정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정상회담 취소 발표화 관련해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 긴급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자정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정상회담 취소 발표화 관련해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 긴급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