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한반도 문제가 진척을 보이고 있다"면서 "미국은 북핵 문제를 다루는 가장 좋은 방법이 다자간 협상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고, 곧 실현될 것 같다"고 말했다. 부시 대통령이 북한의 다자간 대화 수용 의사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림으로써 다자간 회담 성사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다자간 회담의 형식과 시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 '2+4' 방식 유력 =지금까지 거론된 주요 대화형식은 '5+5'와 '2+4'회담 등이었다. '5+5' 회담은 미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 영국 등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과 남북한 유럽연합(EU) 일본 호주 등 5개국이 참여하는 대화의 틀이다. '2+4' 회담은 남북한 및 미.일.중.러 등이 참가하는 형식이다. 이중 '2+4' 회담 방식이 성사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미국, 일본이 이 방식을 선호하고 있고 중국과 러시아가 반대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성렬 북한 유엔대표부 차석대사도 최근 잭 프리처드 미국 대북교섭담당 대사가 제안한 '2+4' 방식을 즉석에서 거부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14일 "'5+5' 회담은 유엔안보리의 징계논의를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북한이 기피할 것으로 관측된다"고 밝혔다. 이 방식은 논의 주체가 지나치게 많다는 점에서 합의 도출 과정이 복잡하게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 이에 반해 '2+4' 방식은 한반도 관련 당사국이 직접 참여, 논의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 정부 대응 =다자대화 성사를 위한 정부의 움직임도 빨라졌다. 북.미 모두 유화적인 태도를 취하고, 북한이 추가적인 '핵시위'를 자제하고 있는 현 시점이 북핵 해결의 전기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노력은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다자회담 관련 당사국들을 대화가 빨리 성사될 수 있도록 설득한다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정부가 당장 이날 토머스 허바드 주한 미대사를 외교부로 불러 우리 정부의 북핵 해결 복안을 전달한 것도 이런 차원이다. 정부는 내달 노무현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전후해 북핵문제 해결에 결정적인 돌파구를 마련한다는 방침아래 한.미 고위당국자간 접촉을 넓혀 나가기로 했다. 또 정부는 북한이 다자대화를 통한 핵문제 논의에 참여할 구체적 조치를 취할 경우 체제보장 및 경제지원을 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핵동결 상태에서 대화를 추진하는 우리 정부의 방안이 핵폐기를 전제로 하는 미국과 현격한 차이가 있어 조율과정이 쉽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