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에서는 북한이 이미 핵무기를 개발할 수 있을 정도의 농축우라늄을 갖고 있다고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그렇다면 북한이 어떻게 농축 우라늄을 다량 확보할 수 있는지가 의문이다. 북한은 우라늄 광산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자체 정련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우라늄235가 0.719% 들어있는 천연 우라늄을 3% 이상 함유량의 농축 우라늄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원자력발전소와 맞먹는 시설이 필요하다. 미국 러시아 프랑스 등 핵무기 보유국들은 하나같이 우라늄 농축설비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북한은 농축우라늄을 만들 수 없다는게 전문가들의 일반적 분석이다. 중동이나 아프리카에서 수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북한이 노동 1호,대포동 1호 등 사거리가 1천㎞ 이상인 미사일 생산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며 "핵무기를 만들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북한이 보유한 핵물질을 실전에 사용할 수 있는 무기로 만들기 위한 핵심기술인 기폭장치나 폭발 제어기술 등은 아직 초보단계일 것이라는 게 대다수의 의견이다. 기폭장치란 핵물질이 핵분열을 일으킬 만한 여건을 만들어 주는 것으로 플루토늄 12㎏이 들어가 있는 구형 핵폭탄을 예로 들 경우 플루토늄의 부피를 1백만분의 1초 안에 완벽하게 구형을 유지하면서 크기도 30%정도 압축시킬수 있도록 설계돼야 한다. 이처럼 기술적으로 정밀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기폭장치 개발에는 슈퍼컴퓨터가 흔히 사용된다. 미국도 과거 2천여 차례나 시행착오를 거듭한 끝에 완벽한 기폭장치를 개발할 수 있었다. 원자력연구소 관계자는 "북한이 핵탄두 제조기술을 보유하고 있다하더라도 핵무기 제조를 위해선 핵 실험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검증되지 않은 상태의 핵탄두는 기폭에 실패할 가능성이 클뿐 아니라 북한이 수십개의 핵탄두를 만들수 있을만큼 많은 핵물질을 보유하고 있지 못하다"며 "당장 핵 위협이 현실화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대해 일부에서는 "북한이 어떤 경로로 어디서 핵무기 기술을 들여왔는지 아무도 모르는 상황이기 때문에 핵 위협 문제를 쉽게 단정지을 수는 없다"고 밝혔다. 송태형 기자 toughl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