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12월 대선 선거체제를 선대위와 당으로 2원화해 나가기로 결정했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후보와 한화갑(韓和甲) 대표는 13일 조찬회동에서 "당은 일상적 당무와 국회에 관한 업무를 맡고 선대위는 선거에 관한 업무를 맡는 것으로 조정됐다"고 이낙연(李洛淵) 대변인이 전했다. 당초 선대위가 출범하면 역대 선거에서 처럼 모든 당 조직이 선대위에 흡수될 것이라던 예측을 무너뜨린 것이다. 특히 한 대표가 계속 당 대표를 맡기로 함에 따라 신당 추진작업의 향배도 예측할 수 없게 됐고 당내의 복잡한 권력투쟁 또한 계속될 전망이다. ◇당무.선대위 분리 = 선대위와 당무 역할 분담은 선대위 출범 이후 모든 당무를 선대위가 관장하는 관례를 깬 것으로 선대위 기능을 심각하게 축소시킬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노 후보측의 한 관계자는 "대선국면에서 선거와 관련되지 않은 당무활동이란 것이 하나라도 있느냐"면서 "그런데도 선대위 따로, 최고위원회의 따로 두 개의 체제속에서 움직인다면 선거를 제대로 치를 수 있겠느냐"고 항변했다. 심지어 노 후보와 한 대표가 서로 "제 갈길을 가기로 한 것"이라는 극단적 해석도 나왔다. 2원화 배경에는 `노 후보 선대위'에 당권을 모두 넘겨줄 수 없다는 한 대표의 의중이 담겨있는 것 아니냐는 얘기다. 한 당직자는 "결국 어느 시점에선가 `반창(反昌)' 후보 단일화가 모색돼야 하고 지금 출범하는 선대위는 과도적 기구가 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당권을 계속 살려나가겠다는 한 대표의 뜻이 담긴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두 사람의 이같은 결정을 당 수습을 위한 고육지책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조찬 회동 배석자가 "두 사람의 회동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고 말한 것도 알력이나 갈등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특히 한 대표의 선대위원장 선임을 놓고 `친(親) DJ 이미지가 강한 한대표가 맡을 경우 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과 `그가 맡지 않으면 당의 결속을 끌어낼수 없다'는 주장이 맞선 상태에서 절묘한 타협점을 찾아낸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한 고위 당직자는 "당이 선대위를 보좌하는 측면으로 보면 된다"면서 "한 대표가 당의 분란 수습을 자임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 대표도 기자들의 질문에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 달라"면서 "(선대위원장은) 외부에서 더 좋은 분을 모셔오면 된다"고 말했다. ◇신당 추진 = 한 대표의 대표직 고수는 그가 공언해온 '신당 출범후 대표직 사퇴' 언급에 비춰볼때 신당은 당분간 안한다는 것과 맥을 같이한다. 즉, 당대당 통합이나 백지신당은 물론이고 `리모델링' 수준의 신장개업도 당분간은 없다는 것이다. 문희상(文喜相) 대선기획단장은 "신당이 안되니까 대표가 대표직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 아니냐"면서 "간판 바꾸는 신당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16일 열리는 신당추진위 회의는 사실상 추진위 해체를 공식 선언하는 자리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이같은 관측은 더욱 힘을 얻고 있다. 그러나 지금의 민주당 간판으로는 대선승리가 어렵다는 당내 공감대가 형성돼 있어 추진위 해체와는 별도로 신당 추진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염동연(廉東淵) 정무특보는 추진위 해산후 신당 추진의 방법에 대해 "한 대표가 당무기능을 계속 맡게 될 것이니 당무에서 뭔가 마련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당권행보 논란 = 당내 비주류 일각에서는 한 대표의 대표직 고수에 대해 대선이후 당권을 노린 행보라는 의혹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지난 6.13 지방선거와 8.8 재보선 결과에 책임을 지고 사퇴의사를 표명했던 만큼 선대위가 발족되면 당연히 사퇴하고 경선 2위에게 양보하는 것이 순리인데도 한대표가 대선 이후를 겨냥해 `욕심'을 버리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반면 한 대표측은 지금 대표가 사퇴하고 나면 당내 혼란은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될 것이라고 반박한다. 한 대표측의 관계자는 "대표는 직에 미련이 없다"면서 "그러나 대표가 사퇴하면 대선 국면에서 당권 경쟁에 열을 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혼란을 최대한 막아 보겠다는게 한 대표의 충정"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현재 기자 kn020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