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서울서 신입 안 뽑는다"는 글로벌 IB들
최근 미국 월가에서 골드만삭스 신입 직원들의 ‘반란’이 큰 화제가 됐다. 골드만삭스 1년차 직원 13명이 사내 과도한 노동 강도를 담은 보고서를 소셜미디어에 공개해서다.

보고서에서 드러난 투자은행(IB) 주니어들의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은 처참하다. 응답자들은 지난 2월 근무 시간이 최장 주당 105시간, 평균 주당 98시간이었다고 밝혔다. 한 응답자는 “내가 이 일을 시작할 때 오전 9시 출근, 오후 5시 퇴근을 기대하진 않았지만 상시적으로 오전 9시에 출근해서 새벽 5시에 퇴근할 것이라고 예상하지도 못했다”고 토로했다. 이들은 회사에 “주당 80시간만 일할 수 있게 해달라”고 호소했다.

이 보고서를 보는 한국 IB들의 시선은 복잡하다. 이들의 근로시간은 국내 근로기준법이 규정한 주당 52시간의 두 배다. 골드만삭스 본사가 아니라 서울사무소에서 이런 일이 벌어진다면 사업주가 징역 2년 이하 형사 처벌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본사에서 이런 식으로 진행되는 IB 업무가 한국에서만 천천히 진행될 수 있을까? 거의 불가능하다. 기업의 인수합병(M&A), 채권의 발행, 기업공개(IPO) 등 IB 업무는 그 특성상 중요한 딜이 한참 진행 중일 때는 모두 시간에 쫓기게 마련이다. 글로벌 IB라면 낮에는 한국에서, 저녁엔 유럽에서, 밤에는 미국에서 오는 연락에 대응해야 하는 일이 부지기수다.

적지 않은 한국 내 IB들은 두 가지 방법을 써서 이 문제에 대응한다. 하나는 주 52시간을 넘기고도 이를 제대로 기록하지 않는 방법이다. 야근 수당은 언감생심이다.

다른 하나는 근로시간 규제를 적용받는 주니어를 뽑지 않는 것이다. 업계에선 골드만삭스가 본사처럼 일을 시킬 수 없다는 이유로 한국에서 IB 신입을 뽑지 않는다는 얘기가 파다하다. (물론 골드만삭스는 그런 정책은 없다고 부인했다.) 규제에서 자유로운 홍콩이나 일본에서 뽑거나 한국어가 되는 직원을 그리로 보내면 되기 때문이다. 다른 IB들도 비슷하다. 5~6명의 인턴을 쓴 뒤에 모두 ‘정직원 전환 불가’를 통보한 곳도 있다. 규제 대상이 아닌 시니어 인력을 중심으로 운영하며 일감만 따오게 하고 주니어 키우기는 포기한 곳이 많다.

결과적으로 경직적인 주 52시간제와 현실 간의 괴리 때문에 IB 분야 근무를 희망하는 주니어들은 서울에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거나 야근수당조차 제대로 받지 못하는 상황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처지다.

규제가 현실을 선도할 때도 있지만, 간극이 너무 벌어지면 현실의 근로자들에게 괴로운 선택을 강요하게 된다. 미국처럼 주니어들을 휴식도 없이 주당 100시간씩 일하게 하자는 게 아니다. 사업장에 맞는 적정한 근무 체제를 찾아갈 수 있도록 탄력적인 적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