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이슈] 마크롱의 '신 시장개혁 정책'이 프랑스 일자리 늘렸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던 프랑스 제조업이 ‘마크롱 효과’로 살아나고 있다. 세계 경기가 회복세를 타는 가운데 노동, 세제를 중심으로 한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친(親)시장 개혁정책이 기업 투자와 고용을 촉진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 30일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프랑스는 2009년 이후 처음으로 지난달 공장이 순증했다. 새로 문을 연 공장이 문을 닫은 공장 수를 넘어섰다. 수출 제조업과 건설 경기가 좋아지면서 르코크스포츠(의류) 에코셈(시멘트) 등이 공장을 신설했다.

제조업 지표 10년 만에 최고

[이슈&이슈] 마크롱의 '신 시장개혁 정책'이 프랑스 일자리 늘렸다
프랑스에 공장이 들어서고 있다. 현지 시장정보업체 트랑데에 따르면 올 들어 61개 공장이 폐쇄됐지만 87개 공장이 새로 문을 열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2009년 이후 프랑스에서 600개가 넘는 공장이 문을 닫았고, 11만5000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새 공장 수가 폐쇄 공장 수를 넘어선 것은 2009년 이후 처음이다. 디지털경제 전환기를 맞은 프랑스 제조업에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프랑스 북부 덩케르크에 새 공장을 짓고 있는 아일랜드 시멘트업체 에코셈의 창업주 도날 오리아인은 파이낸셜타임스 인터뷰에서 “프랑스 경제가 30년 만에 낙관적으로 변하고 있다”며 “경기 회복세에 힘입어 프랑스 건설업은 지난해보다 11% 성장했다”고 말했다. 이어 “공장 신설 결정은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당선 이전에 결정했지만 취임(5월14일) 후 그의 노동개혁과 감세정책이 투자 등 기업인들의 ‘야성적 충동’을 되살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프랑스 정부는 산업계 변화를 전면에 내걸고 마케팅 지원에 나섰다. 부르노 르 마르 프랑스 재무장관은 미래 프랑스 산업을 글로벌 시장에 홍보하기 위해 ‘프렌치 팹(French Fab)’이라는 새로운 트레이드마크를 고안했다. 프랑스 미래 산업은 중간규모 수출 제조업체에 달렸다는 의미로, 경쟁력이 떨어지는 4000개 중소기업의 수출을 지원하는 정책을 통칭한다. 이를 통해 1990년대 후반 16%에서 현재 12.5%까지 떨어진 국내총생산(GDP) 중 제조업 비중을 다시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친시장 정책으로 경제성장 ‘자신감 회복’

프랑스 통계청이 매달 생산량, 재고량, 수출 주문량 등을 조사해 집계하는 제조업체 신뢰지수는 10월 111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생산량 증가를 예상한 제조업체가 생산량이 감소할 것이라고 답한 제조업체보다 훨씬 많아 일반 생산량 부문 신뢰지수는 2000년 이후 최고였다.

자신감을 회복하고 있는 제조업은 기계장비 수출 분야로 조사됐다. 수출 주문이 증가하면서 기계장비 제조업체의 생산량은 산업계 평균을 훨씬 웃돌 전망이다. 금속, 의류, 고무, 플라스틱 등의 제조업체도 안정적인 성장세가 예상됐다.

마크롱 대통령의 친(親)시장 정책 덕분에 제조업 분야 호조가 계속되고 있지만 소비자 신뢰지수는 주춤한 상태다. 10월 소비자신뢰지수는 지난달 대비 1포인트 하락하며 4개월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고용 호조에도 마크롱 대통령의 친기업 노동개혁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과 우려가 아직 남아 있기 때문”이라고 언론들은 분석했다.

노동시장 유연화·감세정책 탄력 받을 듯

대부분의 전문가는 프랑스의 경기지표 호조로 마크롱 대통령의 노동유연화와 감세정책이 탄력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프랑스 의회는 부유세 부과 대상을 대폭 축소하고 자본소득세 누진세율 대신 비례세율을 적용키로 하는 ‘2018년 세제개편안’을 통과시켰다. 마크롱 대통령은 2022년까지 33.3%인 법인세율을 25%로 인하하겠다고 공언했다.

마크롱 대통령의 친시장 정책이 프랑스 경제를 얼마나 살려내느냐에 따라 그의 정치 명운은 물론 유럽연합(EU)의 개혁 성패도 달렸다는 분석이 많다. ‘마크롱 개혁’이 실패할 경우 그가 주도하는 EU 통합을 위한 개혁 자체가 좌초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마크롱 개혁은 2022년 프랑스 대통령선거에서 최종 심판을 받게 될 전망이다. 프랑스의 극우성향 정당 국민전선의 마린 르펜 대표는 반(反)세계화와 보호무역주의를 내걸고 지지율을 높이고 있다.

허란 한국경제신문 국제부 기자 w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