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원이 자율주행차의 해킹문제가 불거지자 단거리전용통신(DSRC) 주파수를 제한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무선으로 차의 속도 및 위치 등을 해커가 사용, 범죄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서다. 게다가 최근 자동차에 결제 기능이 들어가며 각종 신용카드 정보는 물론 다양한 개인정보와 의도적인 원격조정도 이뤄지는 등 범죄에 무방비로 노출된 만큼 단거리 무선통신을 제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차가 말을 안들어! 원격조정이라면…미국서 논란

16일 외신에 따르면 현재 미국에서 판매되는 거의 모든 차에는 무선통신 기술이 탑재돼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키로 차 문을 열거나 시동을 거는 것 자체가 단거리 무선통신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 점을 간파한 해커들이 통신 주파수를 타고 들어와 문을 열어 절도를 하거나 차가 움직일 경우 원격 조종도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상원의 설명이다. 실제 일부 제조사는 해커의 원격 조정이 실험으로 입증되자 보안 강화에 나섰고, 스마트키의 무선 통신망을 해킹하는 단말기까지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원은 각 자동차회사가 판매 지역마다 전자제어장치를 달리 적용한다는 점을 들어 아예 원격조정을 제한하는 것이 최적의 보안방법이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또한 해킹피해가 발생할 경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DSRC 주파수 사용자를 경찰 등 감독기관에 등록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DSRC 주파수 사용자를 등록해 지속적인 사용내역과 사이버안전계획 등을 업데이트해 해킹을 예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상원의 입법이 추진될 경우 향후 등장하게 될 다양한 자율주행차의 보안 강화도 뒤따를 수밖에 없다. 해커의 활동을 제한하되 제조사 또한 보안에 책임을 질 수밖에 없어서다. 이와 관련, 자동차미래연구소 박재용 소장은 "이미 실생활에서 자율주행차가 아니더라도 스마트키와 같은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는 방식의 해킹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며 "이제는 자동차의 키(Key)를 복사하는 게 아니라 주파수를 맞추는 시대여서 단거리 주파수 이용 제한은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오아름 기자 or@autotimes.co.kr

▶ [칼럼]자동차, 공급과 수요의 숫자 걱정
▶ [시론]삼성은 자동차를 만들 것인가
▶ 르노삼성, SM6 1.5ℓ 디젤이 빈약? 천만에
▶ 테슬라 대항마 패러데이퓨처, 중국에서도 생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