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영업 규제 이후 동네슈퍼 이용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골목상권 보호라는 취지와 달리 기업형 슈퍼마켓(SSM)이 가장 큰 반사이익을 봤다.

2일 주하연 서강대 교수가 농촌진흥청의 주부 패널 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한 ‘대형마트 규제에 의한 소비자 구매행동 변화’에 따르면 대형마트 영업 규제가 몰렸던 지난해 5~6월 소비자들은 월평균 10만834원(농식품 기준)을 대형마트에서 소비했다. 전년 동월에 비해 1만8195원(18.4%) 감소한 금액이다. 대신 소비자들은 전통시장에서 9033원(16.51%)을 더 썼다. 하지만 서민·골목상권 보호 효과는 여기까지였다. 그 다음으로 많은 액수인 8624원(29.87%)이 SSM으로 옮겨갔고, 편의점 등 전문점도 7037원(16.3%)의 반사이익을 봤다.

하지만 소형 슈퍼에서 구매는 같은 기간 1만3606원(19.92%)이나 감소했다. 농진청 관계자는 “농식품을 살 때 주말에는 대형마트, 평일에는 기업형 슈퍼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늘어났기 때문”이라며 “기업형 슈퍼의 출점이 활발해지면서 소형 슈퍼 수가 줄어든 것도 한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농진청이 지난 3월 대형마트 규제에 대한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대체 구입처로 가장 많이 꼽힌 곳은 SSM(28.3%)이었다. 이어 소형 슈퍼(21.9%), 전통시장(16.1%) 등의 순이었다. 대형마트 규제에 대해서는 찬성(44.5%) 의견이 많았지만, 중립(42.1%) 또는 반대(12.7%)도 적지 않았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