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가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의 하나로 합병을 제시하면서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동안 시장에서는 합병을 통한 민영화 방안이 꾸준히 제기됐으나 정부가 공식적으로 이를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금융권도 `합병 후 지분 매각' 방안이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라는 목표를 가진 정부나 투자자 입장에서 가장 현실적인 시나리오인 것으로 보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정부가 보유한 우리금융 지분은 66%로, 이 중 블록세일 등으로 처리가 가능한 소수지분을 제외하고 경영권과 관련한 지배 지분인 `50%+1주'를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민영화의 핵심이다.

17일 기준 우리금융 종가(1만5천300원)로 계산하면 지배지분 가치는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감안할 경우 7조원 이상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덩치가 너무 크기 때문에 그대로 시장에 매물로 내놓게 되면 선뜻 인수자를 찾기가 어렵다는 점이 정부의 고민이었다.

하지만 다른 금융지주회사와 우리금융을 주식 맞교환을 통해 `대등 합병'하면 정부의 지분은 낮아지게 되고 투자 매력도 높아져 나중에 지분을 팔기가 쉬워진다는 것이다.

한정태 하나대투증권 애널리스트는 "은행업은 중장기적인 성장성이 없는 산업이지만, 만약 2개 기관이 합쳐지면 시장 점유율이 높아지고 영업력도 좋아져 투자 매력이 커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진동수 금융위원장이 지난 16일 "합병을 하게 되면 기업가치를 올릴 수 있고 파는 것도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문제점도 있다"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문제는 어느 금융회사와 합병을 추진하느냐다.

현재 하나금융지주, KB금융지주, 산은금융지주, 농협금융지주 등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이들 중 한 곳과 손잡으면 국내 은행권 판도가 달라진다.

일각에서는 하나금융지주와의 합병을 점치고 있지만 `특혜시비'를 불러올 가능성도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가 합병 대상을 정할 때 어떤 시너지 효과가 있는지 등 납득할 만한 명분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독과점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이병윤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얼마전 보고서를 통해 "국민, 신한, 하나은행이 우리은행 또는 외환은행을 합병하면 상위 3곳의 총자산 기준 시장점유율이 75%를 넘을 것"이라며 "이 경우 공정거래법상 시장지배적 사업자에 해당해 합병승인 과정에서 논란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산은금융지주, 농협금융지주 등과의 합병은 진정한 의미의 민영화가 아니라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

정부는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의 하나로 다수에 대한 분산 매각도 제시했다.

국민연금과 여러 산업자본, 외국계 금융회사에 지분을 5~10% 안팎으로 쪼개서 파는 시나리오가 거론된다.

지배지분을 파는 것이 여의치 않다면 과점주주 형태로 우리금융의 지배구조를 구성하는 방안이다.

산업자본은 은행지주회사의 주식을 보유할 수 있는 한도가 9%로 제한돼 있다.

이에 대해 금융권 관계자는 "우리금융 단독으로 지분을 쪼개 팔면 투자 매력이 떨어져 투자자들이 많지 않을 것"이라며 "분산 매각 역시 합병 이후 지분 매각 방안으로 고려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우리금융의자회사를 분리해 파는 방안도 우리금융의 전체 몸집을 가볍게 할 수 있지만, 이 역시 지배지분을 처리해야 하는 과제가 남는다.

은행권 관계자는 "계열사를 분리 매각하면 공적자금을 일부 회수할 수 있고 지배지분 매각에도 유리할 것"이라며 "우리금융 민영화는 결국 `합병+∝'식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서울연합뉴스) 조재영 기자 fusionjc@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