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오프닝) 이헌재 경제 부총리가 종전의 말과는 달리 화폐 액면 변경이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있다고 시사하면서 금융가에서는 이에 따른 문의가 쇄도하고 있습니다. 어떤 말들이 오가고 있는지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히 알아 봅니다. 보도본부의 박 재성 기자가… (앵커) 네… 먼저 화폐 개혁 진짜로 일어나는 것이냐… 이런 문의가 폭주한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고액 자산가를 상대로 하는 은행 PB 창구를 중심으로 관련 문의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화폐 액면 변경이 기존의 화폐 단위를 바꾸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사실상 화폐 개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이 경우 크게 두 가지가 집중적인 관심 대상이 되고 있는데요. 첫째가, 화폐 개혁으로 숨겨진 돈들이 노출될 경우 고액 자산가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또는 대응해야 하는가 -둘째가, 화폐 개혁에 따른 인플레이션 가능성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53년과 62년 두 차례 화폐 개혁이 있었는데요. 53년 같은 경우 전시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화폐 단위를 1/100로 낮추면서 교환되는 화폐의 양을 통제했습니다. 약 1주일 동안 화폐를 묶어두고 생활비만 내주는 형태였죠. 인플레를 낮추자는 것이었는데 새로 화폐 발행이 늘면서 별 효과는 없었고요. 두 번째가 516 쿠데타 이후 단행된 통화개혁입니다. 이 때에도 통화 단위를 1/10로 낮추면서 약 1주일 동안 예금을 동결했습니다. 역시 이 때도 과잉 통화의 흡수 그리고 숨은 자금을 밝은 곳으로 끌어 내겠다는 목적이 컸는데요. 암 시장과 상품 교환 수단으로 달러가 공공연히 유통됐던 당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두 건 모두 “예금 동결”이라는 극약 처방을 씀으로써 대중들에게는 상당히 부정적인 의미를 남겼는데요. 자신이 가진 돈을 모두 드러내 보여야 한다는 것이죠. 특히… 자산가들이 이 점을 두려워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이번에 논의되는 화폐 개혁은 이것과는 다르다는 것입니까? (기자) 현재까지 흘러 나온 내용을 종합해 보면 될 것이다. 이런 내용입니다. 말하자면, EU가 통합되면서 단계적으로 EURO라는 통합 화폐를 사용하지 않았습니까? 이 때에도 유럽 각국이 자국 통화를 함께 사용하면서 1~2년에 걸쳐 서서히 통화를 교체해 나갔는데요. 이 모델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적어도, 위협적인 교환… 또는 재산 출처를 모두 밝히겠다는 식의 의도나 목적은 없는 듯합니다. (앵커) 그렇다면 어떤 것을 염두에 두고 있나요? (기자) 정부측의 말을 그대로 빌면 화폐 단위를 국제적인 수준에 맞춰 현실화시킨다는 것입니다. 62년 이후에 GDP는 2130배 물가는 48배가 뛰었는데 화폐 단위는 그대로이다 보니 이제 조 단위가 예사이고 앞으로는 “경”이라는 말을 써야 할지 모른다는 것이죠. 그리고 기축 통화인 달러를 기준으로 하더라도 교환비율이 1,000을 넘는 나라가 OECD 국가 중에는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터키가 최근 화폐 단위를 바꾼다고 하는데요. 이 나라의 교환 비율이 현재 1달러에 1백50만 리라라고 합니다. (앵커) 그렇다면, 교환만으로 끝나는 것인가요? 다른 문제는 무엇입니까? (기자) 앞서 말씀 드렸던 일반인의 우려 가운데 두번째가 인플레이션 우렵니다. 지금 논의되는 것이 1000대 1의 평가절하인데요. 이렇게 화폐 단위를 낮추게 되면 비록 이론상 화폐가치는 변하지 않더라도 화폐 가치에 대해 착시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과거의 백만원이 천원이 되면 그만큼 소득이 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죠. 게다가 천원 미만의 가격은 절사 과정에서 값이 오를 수밖에 없고요. 예를 들어 950원하는 노트는 0.95원이 되는 것이 아니라 1원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죠. 나아가 아예 1원, 그러니까 지금 돈으로 천원 미만의 제품은 찾아 보기 힘들 수 있습니다. 실제로 유럽에서도 EURO로 전환하면서 교환 비율에 따라 0.몇원 하는 형태로 표기된 물품들은 가격이 대부분 오르는 경향이 있었다더군요. (앵커) 그렇다면, 어떤 영향이 예상될 수 있습니까? (기자) 인플레이션 효과가 가장 우려되는 것이라면 일단 실물 자산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물가가 오르면서 화폐 가치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면 부동산 등 실물이 유리하다고 보는 것이고요. 인플레이션이 시작되면 채권자는 불리해지는 반면 채무자는 유리하지 않습니까? 따라서, 채무 상환을 늦추고 반대로 부채는 늘리려는 유인을 갖게 됩니다. 이외 외화 수요가 늘수도 있고요. 일부에서는 달러로 표시된 연금 가입을 권유하는 곳도 있다고 하더군요. 증권시장으로 봐서는 종목 당 가격이 착시현상이 일어나는 데다, 인플레 우려에 따른 실물 선호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삼성전자 주가가 48만원에서 4백80원이 되는데요. 소득도 같이 줄긴 하지만 매우 싸 보이는 것이죠. (앵커) 주식시장에서도 화폐 개혁설에 덩달아 움직이는 종목이 있다면서요? (기자) 그렇습니다. 동전 생산업체인 풍산과 현금자동입출금기 관련 업체 청호컴넷, 한네트, 그리고 지폐용지 관련해서 한국제지, 한솔제지, 신무림제지 등입니다. 이들은 파급 경로의 첫 단계에 해당하고요. 실제 화폐가 바뀌게 되면, 화폐 제조는 물론 회계와 재무 관련 프로그램의 교체 그리고 새로운 장부와 전표의 준비 등 과거 2000년을 앞두고 증시 테마를 형성했던 때처럼 곳곳에서 관련 영향이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끝으로, 화폐 변경이 단행될 가능성은 어떻게 예상되고 있습니까? (기자) 정부의 발표가 원칙만 나온 것이라… 아직까지 진전 단계를 확인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잇따른 발표로 봐서 실무적인 준비도 어느 정도 갖춰진 것 같고요. 다만 사회적 파급이나 경제적 영향 등을 감안해 여론을 살피며 시기를 보는 것 같습니다. 아직까지는 어디서도 화폐 개혁을 찬성한다든지 반대한다든지 뚜렷한 입장도 제시되고 있는 것 같지 않고요. 좀더 여론이 무르익으면 반응을 지켜보며 후속 방침이 이어질 듯합니다. 한정연기자 jyhan@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