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중심국가'의 구현이 신정부의 주요정책과제로 선정되어 현재 많은 정책적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를 동북아 금융의 중심축으로 만들자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IT기술의 거점으로 만들자는 의견도 있다. 이에 정부의 각 부처와 민간단체들은 중국 일본 대만 등과 연계된 다양한 경제,산업 협의체 구성을 추진하고 있다. 필연적인 현상이지만,주변국들도 아시아 경제블록에서의 다양한 교류협력에 혼신을 다하고 있다. 이미 아세안 5개국과 자유무역협정을 추진하고 있는 일본은 경제산업성을 주축으로 범아시아권의 자유(공개) 소프트웨어 확산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고자 3월 초 태국에서 대대적인 국제회의를 준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아시아에서 국제교류의 필요성이 부각된 데에는 크게 세 가지 요인이 있다. 첫째,중국시장의 잠재력이다. 아시아 국가들이 중국시장을 목표로 해서 최대한 지리적 이점을 살리고 영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동일권역내의 국가들과 연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둘째,IT분야에서 한국 일본 대만 등 아시아 모범국가들의 경쟁력이다. IT산업에서 이들 국가가 차지하는 영향력과 장악력은 이제 세계적이기 때문이다. 셋째,아시아 국가들의 양질의 노동력이다. 이제 미국을 제외한 어느 국가도 IT산업분야에서 인력 부족을 피할 수 없는데,인도 베트남 중국 등은 우수한 인재를 제공할 수 있는 잠재성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신정부가 동북아,나아가 아시아권에서 우리나라의 위상과 역할을 자각하고,아시아적 국제협력의 필요성을 인식해 동북아 허브 국가 구축을 주요정책과제로 삼은 것은 매우 시기적절한 일이다. 그러나 이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정부중심적 국제교류와 협력을 되돌아보고,그 공과를 취사선택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지난 국제교류가 행사 중심적이고 지속성이 결여된 형태로 추진되어 실효성이 매우 취약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아시아 권역의 문화와 현실에 대한 깊은 이해와 적절한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우리가 비록 아시아에 살고 있지만,우리의 관심이 지나치게 미국이나 서구에 편향되어 아시아적 문화에 대한 이해가 매우 부족하다. 이와 같이 아시아적 국제교류와 협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단기적인 정책과 함께 반드시 기반이 되는 장기적인 정책을 인내심을 가지고 시행해야 한다. 이런 정책의 핵심이 되는 요소가 바로 학술교류의 활성화다. 성공적인 국제교류와 협력을 위해서는 지속성이 필수적인데,이는 절대적으로 참여자들의 인적 신뢰에 바탕을 두고 있다. 실제로 국제교류 협력을 추진할 수 있는 주체는 대학,연구소 등의 비영리단체,기업 등의 영리단체,정부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이중에서 대학 등의 학술단체들은 초기에 인적 네트워크를 빠르게 구성하는데 효과적이고, 아울러 이를 유지하는데도 매우 적합하다. 그 이유는 이들이 본질적으로 연구 결과의 공개와 공유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이에 따라 상호 이해 상충의 소지가 적기 때문이다. 아울러 아시아의 문화특성상 이런 연구자들은 자국 내에서 산업과 정부에 폭 넓은 인맥을 유지하고 있어 학술교류를 산업체나 정부간의 교류협력으로 자연스럽게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다리 역할을 하게 된다. 현재 IT학술단체는 미국중심의 북미권과 유럽연합(EU)중심의 유럽권으로 블록화되어 있다. 아시아의 연구자들은 이 양대 블록에 참여하고 있으나,이를 통해 아시아권에서 필요한 IT기술과 인력양성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우리 정부와 IT분야의 기업들은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국제학술교류와 협력을 주도할 수 있는 학회의 구성과 발전에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실제로 EU에서는 ARTIST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우수 연구자 네트워크(network of excellence) 형성에 많은 자금을 투자하고 있으며,에릭슨 지멘스 다임러크라이슬러 등의 유럽회사들이 이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이 점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sshong@redwood.snu.ac.kr -------------------------------------------------------------- ◇이 글의 내용은 한경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