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gsi@kitc.co.kr 요즈음 필자는 회사에서 "우리끼리 회식할 땐 폭탄주 돌리지 말자"고 주문하고 있다. 폭탄주의 장점과 매력(?)에도 불구하고 폭탄주문화가 가져오는 폐해에서 벗어날 때가 되지 않았나 해서다. 우리나라만큼 폭탄주를 즐겨 마시는 나라도 없는 모양이다. 오죽하면 외국언론에서조차 한국의 음주문화는 폭탄주문화라고 할까. 여기에 더해 한국의 기업경영은 MBA라고 해서 '술을 통한 경영' 즉 'Management By Alcohol'이라고 한다니 한번쯤 생각해 볼 일이다. 물론 위스키 수출에 총력을 기울이는 이면으로 자국 우월주의의 편향적인 보도 태도를 보이는 외국 언론의 한마디 때문에 그러자는 것은 아니다. 폭탄주가 개인의 건강과 조직문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는 터에 폭탄주문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은 늦은 감이 없지 않다. 필자와 같은 CEO는 직원과의 술자리에서 가랑비에 옷 젖듯이 소주잔 세례를 감당하기 어려울 때 폭탄주가 전가의 보도처럼 유용하게 쓰인다. 폭탄주를 만들어 한잔씩 돌리면 누구나 공평하게 한잔씩 마시게 되어 술잔 쏠림을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공평하다는 말에는 사실 불평등의 요소가 숨어 있다. 술을 받아들이는 능력에 따라 개인차가 있기 때문이다. 체질상 한 잔도 못먹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여성의 경우 알코올 분해능력이 남성의 반 밖에 되지 않는다 하니 한잔씩 똑같이 나눠 마시는 것이 공평할 수는 없다. 개인의 음주에 대한 기호와 습관을 무시하는 이러한 획일적인 음주는 집단적 사고의 또다른 행동양식이다. 지금은 디지털 시대다. 개개인의 유연한 사고와 창의성이 존중되는 시대다. 술 또한 시대적 흐름에 맞게 그 문화를 바꿀 때가 된 것이다. 술 주(酒)자를 풀어보면 닭이 물을 쪼아먹는 것을 뜻한다고 한다. 닭이 물을 쪼아먹듯 나누어 마시면 별탈 없는 것이 술이건만 이를 폭탄으로 부어 마시니 우리의 건강이 성할 리 없다. 옛 우리 선조들처럼 술잔을 주고 받으면서 그 맛을 음미하고 시를 읊거나 대화를 나누는 그런 멋스러운 음주문화가 그리워지는 것이 비단 필자만의 생각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