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정서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게 아니다.

객관적 사실들이 국민 가슴속에 조금식 침전.축적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그래서 국민정서는 뿌리가 깊고 정세가 변화됐다고 쉽게 바뀌지 않는다.

또 국민적서는 이성적인 판단이 아니므로 어디까지 정책결정에 반영해야
할는지 하나의 과제로 남는다.

광복 50주년이 되는 8월15일을 기해 일재잔재의 상징인 구조선총독부선물을
철거하기 시작한다는 것은 국민정서나 명분으로 볼때 타당한 일이라 할수
있다.

정부는 김영삼태통령이 취임초 그 건물의 철거를 발표한 후, 현 국립중앙
박물관의 철거와 박물관이 임시로 옮겨갈 사회교육관의 증.개축발주, 그리고
올 3.1절의 철거선포식에 이어 7일에는 건물 돔부분의 첨탑을 미리 타이아
몬드 줄톱으로 잘라놓았다.

정부의 철거작업이 예정대로 진행됨에 따라 "국립중앙박물관 보존을 위한
시민의 모임"은 지난 5일 일간지에 철거반대성명을 내고 회원모집에 들어
갔다.

이 "모임"의 주장은 한마디로 이 건물의 철거결정을 철회하고 이 건물을
문화재로 지정해야 된다는 내용이다.

결국 구총독부건물의 철거를 둘러싼 종래의 찬.반논쟁이 철거를 열흘을
앞둔 시점에서 표면화된 셈이다.

이 해묵은 논쟁의 재연을 보면서 양측 모두 시각이 너무 일면적이고
즉흥적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

또 철러를 추진하는 그간의 정부작업도 너무 성급했다는 느낌을 갖게 한다.

광복 50년을 맞아 일제잔재를 일소하려면 건축물뿐 아니라 언어 지명
역사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친 종합계획이 있어야 했다.

일제잔재건축물만 해도 구총독부건물뿐아니라 서울시내의 공공건축물만
서울역 한국은행 시청등이 현존하고있다.

구 총독부건물철거결정에 앞서 이들 건물의 철거 또는 보존여부에 대한
결정이 있어야 했고 이에따른 구체적 구체적인 계획이 있어야 했다.

광복 50주년이라는 의미라면 일제잔재를 청산하는 장기 종합대책을 확립
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지 않았을까.

지금 구 총독부건물의 철거를 백지화한다는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광복 50주년기념식전에서의 건물의 첨단제거만으로도 정부의
일재잔재청산의지는 확고하게 밝혀진 셈이다.

앞으로 철거작업을 새 국립중앙박물관의 건설에 맞게 조정해서 잦은
아시로 인한 예산낭비나 국보및 보물급 문화재의 훼손위험을 줄이고 우리
헌법을 재정했고 정부수립을 선포했던 역사적인 건물부분은 따로 독립기념관
등에 이전하는 방안등을 검토해 보는것이 어떨까 생각된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8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