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처음 도입됐던 대학입시 복수지원제가 내년에는 이름만 남게될 것
같다는 얘기다. 포항공대 외대등 극히 일부외에는 중상위권대학들이 모두
본고사 또는 면접날짜를 서울대 입시일자(1월13일)에 맞춰 복수지원이
사실상 거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수험생과 학부모 입장에서 보면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대학입장에서 보면 본고사날짜 "담합"은 지극히 합리적이다.
서울대에도 합격한 학생이라면 서울대로 갈것이 너무도 분명한 현실이기
때문에 상위권 사립대들이 복수지원제를 연연해할 이유가 없다. 똑같은
논리로 중위권대학들도 복수지원자를 번거롭게만 여길것은 당연한 이치다.

입시제도처럼 관심이 크고 논란이 끊이지않는 제도는 아마도 없을 것이다.

고교생이 있는 가정이면 전식구가 함께 치르야하는 대학입시홍역을 입시
제도의 결함때문이라고 생각하는 학부모들은 너무도 많다. 기회있을 때마다
입시제도개혁론이 제기되는 것도 그런 배경에서일 것으로 여겨진다.

입시제도에 대해 할말이 많기는 대학관계자들도 예외가 아니다. 어떤
학생을 뽑고 누가 무엇을 가르칠 것인지는 대학이 자율적으로 결정해야
하는데 교육부에서 감도놓고 배도 놓기때문에 문제라는 불평도 나오고 있다.

대학별 본고사과목도 논란의 대상이 된다. 논술고사만 치르야지 영어 수학
국어시험을 보게되면 고등학교교육이 이들 과목에 치우치게돼 균형을 잃게
된다는게 고교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이런 주장에 대해서는 물론 반론도 있다. 대학들의 입시부정이 없었다면
정부가 입시문제에 끼어들지도 않았을 것이라는 지적도 그럴듯하고 실력차
를 정확하게 평가하려면 역시 영어 수학 국어위주의 본고사가 불가피하다는
주장도 설득력이 있다. 그렇다면 과연 대학입시제도를 어떻게 바꾸어야
할까.

결론부터 말한다면 입시제도를 어떻게 바꾸더라도 교육환경개선에 별
보탬이 있을것 같지 않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복수지원제가 실시
1년만에 사실상 좌초하고만 것도 그 제도 자체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 아니다.

입시제도는 그것이 어떤 형태이건, 누가 주체가 돼 운영하건간에 그것만
으로는 본질적인 한계가 있다.

따지고보면 입시제도는 뽑을 학생과 떨어뜨릴 학생을 구분하는 방법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가고 싶은 대학의 수용능력에 비해 진학희망자는
엄청나게 많은 현실속에서 아무리 좋은 입시제도가 나온다한덜 입시지옥이
완화될 까닭이 없다.

뭔가 잘못된 교육의 실상이 대학입시를 통해 표면화되기 때문에 입시제도
의 중요성은 실제이상으로 확대돼 투영되고 있다고 한다면 지나친 표현인가.

그러나 냉정히 따져보면 입시제도개혁만으로 입시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는 것은 명확하다.

대학의 "서열이"이 너무도 분명하고, 이른바 1류대학을 나오지 못하면 그
"죄"하나만으로 한평생 불이익을 당해야하는 상황이 계속되는한 입시제도가
어떻게 바뀌더라도 입시지옥은 나아질 까닭이 없다. "서울의 1류대학"을
향한 펼쳐 버릴수 없는 집착은 수도권집중과 도농간 격차확대를 결과하는
가장 큰 원이이기도 하다. 직장이 지방에 있는데도 계속 가족은 서울에
두고있는 "이산가족"도 따지고 보면 원인은 간단하다.

해결방안은 단한가지 뿐이다.

지방대학을 서울에 있는 대학보다 더좋게 만드는 것 외에는 달리 방법이
없다. 누구나 알고있는 해결방안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실천은 너무
어렵기만 하다.

지방대학의 시설확충과 교수증원을 위해 재정에서 대대적인 지원을 한다
하더라도 그것만으로 될 일이 아니다. 지방대학졸업생들의 취업을 지원
하고 우수고교생들의 지방대학진학을 유도하기 위한 장학금제도확충등 각종
시책이 동시에 시행돼야 한다.

이와관련, 우선 지방소재 정부기관및 금융기관등에 대해서는 대졸자를
모집할 경우 전원 지방대학 출신으로 충당하고, 중앙부처와 인정규모이상의
민간기업도 일정비율이상을 반드시 지방대학에서 뽑도록 제도화하자는 주장
이 제기된 것도 있다.

어쨌든 입시지옥은 날로 심각해지는 추세다. 그 문제를 입시제도를 해결할
수 있다는 착각이 사라지지 않는 이상 아마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