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의회에서 여성의원은 1백명중 1명이 있을까 말까 한 정도의
극소수에 지나지 않게 됐다.
전체 후보자 1만1백20명중 여성은 1.2%인 1백22명이 출마, 전체
의원정수 4천3백4명의 0.9%에 불과한 40명이 당선되는데 그쳤다.
이같은 결과는 당초 지방의회가 교육, 모자복지, 환경문제등 여성에게
적합한 지역살림을 다루기 때문에 여성의 정치참여를 늘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것이라는 기대를 무참히 깨뜨린 것이다.
한국여성개발원의 `여성의원 당선자''명단에 따르면 여성의원은 무투표
당선자 4명을 포함하여 서울에서 22명, 지방에서 18명이 당선됐다.
이들의 시. 도지역별 분포는 서울 22명(의원정수 7백78명) <>경기
7명(5백26명) <>광주 3명(1백10명) <>인천 2명(1백53명) <>부산
2명(3백3명) <>대구 1명(1백82명) <>대전 1명(91명) <>전북 1명(2백80명)
<>경남 1명(4백53명) 등의 순을 보이고 있다.
기초의회 여성비를 보면 서울이 2.8%, 광주 2.7%, 경기 1.3%, 인천
1.3%등 일반적으로 수도권과 대도시지역에서는 조금 사정이 나은 편이고
나머지 강원, 충북, 충남, 전남, 경북, 제주에서는 여성이 단 한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과 대도시가 다른 지역에 비해 여성의원이 많은 것은 <>의원을
2인 이상 뽑는 선거구가 상당수 있어 남성과의 동반당선이 가능하고
<>여성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적은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제로 한국여성정치연구소가 기초의회 선거를 앞두고 전국의
남녀유권자 1천21명을 대상으로 전화여론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여성의
출마가 저조한 이유에 대해 46%가 `정치하는 여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부정적이기 때문''이라고 대답했고 나머지 조직이 없고 선거운동 경험이
부족해서(25%), 여성이 여성후보를 지지하지 않기 때문(11%) 등이
지적됐다.
이 연구소 손봉숙소장은 "대도시 중산층 이상에서는 여성후보에 대한
의견이 그래도 긍정적인데 반해 지방에서는 아직도 남성우월주의가 많이
남아있는 것 같다"고 지적하고 "갑자기 선거일정이 정해진데다
공정선거라고는 하지만 선거자금, 선거조직등 여성 입장에서 어려움이
많아 당선자가 예상보다 훨씬 적다''고 설명했다.
여성의원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40대가 17명으로 가장 많고 50대 13명,
30대 7명, 60대 2명, 20대가 1명이다.
최고령 여성의원은 서울 강동구의 이옥윤씨와 동작구의 장매자씨로
각각 60세이며 최연소 여성의원은 올해 25세인 광주시 북구의 박정희씨로
남녀의원을 통털어도 최연소의 기록을 세우고 있다.
직업별로는 새마을부녀회, 평통자문회의에서 일하거나 탁아소, 유치원,
음식점, 의류점등을 운영하는 개인사업자, 공인중개사, 의원비서 등
가정주부보다는 대부분 활동경력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다.
부천시 최순영, 인천시 홍미영, 서울 구로구 문수정, 서울 관악구
김혜경, 서울 서초구 허명화씨등 일부 여성의원들은 그동안 지역살림에
무관심했던 남성의원들과는 달리 동네에서 탁아, 공해, 교육 등 서민들의
어려운 문제들을 앞장서서 해결해 왔던 장본인들로 주민들의 추대로 출마,
당선되기까지 했다.
한국여성정치문화연구소 김정숙소장은 "굳이 여권신장을 들먹이지
않아도 주민 대표가 골고루 참여하는 풀뿌리 민주주의를 이루기 위해선
여성이 남성처럼 지방자치에 많이 참여해야 한다"면서 "이번 선거에서
여성들은 그동안 남성보다 지역봉사 활동을 많이 해왔으면서도 이를
정치적 리더십으로 연결하지 못한 것 같다"고 평가했다.
김소장은 이번 선거에서 여성의 부진에 대해 <>전통적인 유교문화권이
갖는 여성에 대한 심한 편견 <>여성의 정치활동에 대한 부정적 시각
<>선거전략, 선거유세, 득표전략등 여성의 정치적 능력의 부재
<>여성유권자들의 지원 부족등을 이유로 꼽았다.
이같이 기초의회에서 여성의원이 현저하게 적게 나타남에 따라
광역의회에 출마하려는 여성들에게도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게다가 광역의회의 경우 정당의 공천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여성입후보자가 1%도 넘지 못할 것이라는 비관론마저 대두되고 있다.
이때문에 여성계에서는 선거구, 선거운동, 선거자금등 여러
가지면에서 여성후보에게 불리한 선거법을 개정하는 한편 광역의회에서
여성후보의 정당공천을 할당해 달라고 요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