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수함·전투기 소리도 음악이 될 수 있을까
하늘을 가로지르는 전투기 굉음이 들린다. 그 옆에는 전투기의 종류(보잉 B17D)와 고도(1만m)가 적혀 있다. 잠시 뒤 스크린 위 오선지에 전투기가 내는 소리의 음높이가 하나씩 그려진다. 다음은 잠수함. ‘우웅~’ 소리와 함께 이런 글이 스크린 위에 뜬다. ‘물속, 피스톤, 낮은 음, 150~200㎐, 4분의 4박자.’

전투기와 잠수함 소리를 절대음감으로 맞히는 이 훈련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이 자국 군인들에게 했던 ‘청음훈련’이다. 서양에서 음악가들의 음고 인지능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하던 훈련이 군사용으로 변질됐다. 김영은 작가는 약 80년 전 이 훈련에 참여했던 군인과 음악가 등의 인터뷰 자료 등을 통해 청음훈련을 재연했다. 헤드폰을 쓴 관람객은 잠깐 동안 제국시대의 일본 군인이 된다.

서울 청담동 갤러리 송은에서 열리고 있는 김 작가의 개인전 ‘소리의 틀’은 이처럼 소리에 담긴 맥락과 역사를 알려준다. 갤러리 2층에 들어서면 16분56초짜리 영상 작품 ‘밝은 소리A’(2022)가 관람객을 맞이한다. 현대 악기를 조율할 때 기준이 되는 A(라)음이 어떻게 자리잡게 됐는지 보여주는 작품이다.

원래 서양 음악의 기준음은 A음보다 낮았다. 하지만 높은 음을 잘 내는 악기로 돈벌이를 하려는 악기 제작사와 소리를 멀리 전달하고 싶어 하는 군악대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면서 기준음은 점차 높아졌다. 영상 중간엔 미국 선교사가 국내에 처음 들여온 서양 피아노가 풀숲, 도로를 거쳐 한국으로 들어오는 모습을 재연한다. 이 피아노가 싣고 온 A음이 한국인의 귀를 ‘서양 음악의 귀’로 바꾸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2017년 송은미술대상전에서 대상을 받은 김 작가는 이처럼 청각적 경험에 사회적 맥락을 부여하는 작품으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과 영국군이 대치하면서 불렀던 노래를 보코더(목소리를 기계음으로 전환하는 기계)로 재연한 ‘발라드’(2017), 대북 확성기 방송에서 선동 도구로 사용된 사랑 노래를 통해 소리와 폭력의 관계를 보여준 ‘총과 꽃’(2017) 등이 그의 대표작이다.

작가는 소리를 파편화하기도 한다. 그는 영상 작품 ‘미래의 청취자들에게’(2022)에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해 19세기 말 미국 인류학자가 왁스 실린더에 녹음한 한국 전통음악의 원본을 복구하려고 한다. 하지만 소프트웨어가 이 노래를 소음으로 인식하는 탓에 원본 복구를 시도할 때마다 소리는 점차 사라진다. ‘눈물 젖은 트위스트’(2022·사진)는 일제강점기부터 1990년대까지 금지곡으로 지정됐던 대중음악 20여 곡을 마디마디 분절시켰다. 전시장 안에 있는 여러 대의 스피커가 키보드, 기타, 드럼 등 서로 어울리지 않는 소리를 낸다. 가수도, 가사도, 제목도 없는 소리는 이 노래를 금지시킨 역사적 맥락에서 떼어져 나와 소리 그 자체의 의미를 들려준다. 전시는 오는 13일까지.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