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올리스트 리처드 용재 오닐과 디토 체임버 오케스트라가 연주한 쇼스타코비치의 '왈츠 2번'. /크레디아TV

어디선가 휴대폰 벨소리가 들려옵니다. 인우(이병헌 분)는 왠지 익숙한 멜로디에 멈칫합니다. 그리고 이내 추억에 잠깁니다. 대학 시절 사랑했던 태희(故 이은주 분)에게서 들었던 음악입니다.

태희는 붉은 노을이 내린 바닷가 솔밭 숲에서 인우의 손을 마주 잡았습니다. 그리고 직접 멜로디를 흥얼거리며 인우에게 왈츠를 가르쳐줬죠.

김대승 감독의 영화 '번지점프를 하다'(2000) 속 한 장면입니다. 이때 흐르는 곡은 러시아 출신의 음악가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1906~1975)의 '오케스트라를 위한 모음곡' 중 '왈츠 2번'입니다.

태희의 콧노래에 맞춰 음악 연주가 흐르고, 노을 아래 두 사람의 그림자가 함께 춤을 춥니다. 이 장면은 너무나 아름다워 20여 년이 흐른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고 있으며, 한국 영화사에 길이 남을 명장면으로 꼽힙니다. 워낙 큰 사랑을 받았던 덕분에 창작 뮤지컬 '번지점프를 하다'로도 만들어져 무대에 오르고 있습니다.
영화 '번지점프를 하다'
영화 '번지점프를 하다'
영화를 계기로 국내에서 음악도 매우 유명해졌습니다. 많은 분들이 쇼스타코비치 하면 먼저 이 곡을 떠올리시죠.

음악의 첫 부분은 우아하면서도 경쾌하게 느껴집니다. 태희처럼 멜로디를 흥얼거리며 춤을 추고 싶어질 정도죠. 그런데 이게 전부가 아닙니다. 음악이 흐를수록 슬픔, 그리움, 애잔함 등이 느껴집니다. 한 작품 안에 이토록 겹겹이 다층적인 감정을 담아냈다니 놀랍습니다.

영화 속 장면과도 잘 어울립니다. 인우는 이 음악 소리를 듣고, 과거 태희와 나눴던 풋풋하고 싱그러웠던 사랑을 떠올린 동시에 갑자기 사라져 버린 태희를 그리워합니다.

이 곡을 만든 쇼스타코비치는 어렸을 때부터 음악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습니다. '교향곡 1번'으로 21살에 일찌감치 이름을 알렸죠. 그의 독창적인 음악 세계에 전 세계 전문가들이 주목할 정도였습니다. 쇼스타코비치는 그만큼 젊은 시절 개방적이고 다양한 시도를 했습니다.

그는 특히 재즈를 좋아했는데요. 미국에서 발전한 재즈는 기존 클래식의 정형적인 틀에서 벗어나 자유분방함과 즉흥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래서 유럽의 많은 클래식 음악가들이 재즈에 매료됐고, 쇼스타코비치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는 재즈를 즐겨듣고 이를 자신의 음악에 접목했습니다. 재즈뿐 아니었습니다. 그는 '교향곡 2번'과 같은 전위적이고 급진적인 작품들도 다수 만들었습니다.
영화 '번지점프를 하다'
영화 '번지점프를 하다'
그러나 그의 도전은 곧 커다란 벽에 부딪혔습니다. 위기는 28살에 초연된 오페라 '므첸스크의 멕베스 부인' 때부터 시작됐습니다. 스탈린이 이 공연을 보러 왔다가 자리를 박차고 나간거죠.

작품엔 부유한 상인의 아내 카테리나가 젊은 일꾼인 세르게이와 외도를 하는 장면, 살인 장면 등이 있었는데요. 이런 설정들이 문란하고 외설적이란 이유로 스탈린이 불쾌해 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결국 이 오페라는 상영 금지돼 수십 년간 무대에 오르지 못했습니다. 쇼스타코비치의 다음 교향곡 연주들까지도 취소됐죠.

상황은 갈수록 악화됐습니다. 소련 정부는 쇼스타코비치를 포함한 모든 예술가들의 작품을 검열하며 통제했습니다. 재즈 음악은 물론 다양성을 추구하거나 실험적인 작품들은 모조리 배척했죠.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그런데 이후 쇼스타코비치가 보여준 행보는 많은 논란을 낳았습니다. 그는 결국 스탈린 선전용 작품들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스탈린 정책을 홍보하기 위해 만들어진 영화에도 쇼스타코비치의 곡이 사용됐습니다.

그는 '교향곡 11번'과 '교향곡 12번'에 각각 '1905년' '1917년'이란 부제를 붙여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이 숫자들은 1차, 2차 러시아 혁명이 일어난 해를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쇼스타코비치는 스탈린의 독재를 앞장서 도왔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반면 그가 살아남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눈치를 본 것이며, 자신의 음악 안에 교묘하게 체제 비판 의식을 담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하지만 설상 그렇다 하더라도 그의 과오가 완전히 사라지거나 희석될 순 없겠죠.

벨라루스국립오케스트라가 연주한 쇼스타코비치의 '재즈 모음곡 1번' (왈츠, 폴카, 폭스트롯).

물론 쇼스타코비치의 음악은 오늘날에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왈츠 2번'처럼 오랫동안 대중들의 사랑을 받는 곡들도 많죠. 그럼에도 그가 만약 젊은 시절의 과감하고 용기 있는 도전을 이어갔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듭니다.

예술과 정치, 이 사이에서 예술가는 어떤 길을 선택하고 나아가야 할까요. 어쩌면 이 문제는 영원히 반복될 딜레마이자 풀어야 할 숙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