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고려대 구로병원 연구진이 3차원 입체 분자영상을 통해 감정 스트레스가 심근경색 발생에 미치는 기전에 대한 중요 연결고리를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고대구로병원 심혈관센터 김진원 교수팀(심혈관센터 강동오, 핵의학과 어재선 교수)은 이같은 연구결과가 심장학 분야의 저명 국제학술지 '유럽심장학회지' 최신호에 게재됐다고 25일 밝혔다.
대뇌 감정활성도는 심근경색의 중증도가 높을수록 뚜렷하게 증가하고 심근경색이 회복됨에 따라 함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고대구로병원 제공]
대뇌 감정활성도는 심근경색의 중증도가 높을수록 뚜렷하게 증가하고 심근경색이 회복됨에 따라 함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고대구로병원 제공]
감정 스트레스는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스트레스 반응과 실제 심혈관질환 발병 사이 상호연관성을 설명할 수 있는 자세한 기전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었다.

김진원 교수팀은 3차원 입체 분자영상을 통해 급성심근경색 환자에서 감정 반응을 관장하는 대뇌 영역인 편도체 활성도와 심장마비를 야기하는 동맥경화 염증활성도의 증가 사이에 밀접한 상호연관성이 있다는 점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에서 대뇌 감정활성도는 심근경색의 중증도가 높을수록 뚜렷하게 증가하고 심근경색이 회복됨에 따라 함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구팀은 기존 분자 영상 기법에 3차원 입체 영상 처리 기술을 융합했다는 데 의미를 부여했다. 감정 활성으로 인한 신호와 동맥경화 염증 간 상호작용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강동오 교수는 "오래전부터 관념적으로만 생각해왔던 감정과 심장마비 발생 간 연관성에 대해 세계 최초로 삼차원 입체분자영상을 이용해 입증한 결과"라며 "감정 스트레스 요인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김진원 교수도 "이 결과는 감정 스트레스와 심혈관질환 사이의 병태생리학적 연결고리를 이해하는데 첫 단추가 되는 핵심적인 단서를 제시한 것"이라면서 "3차원 영상 기술을 통해 심혈관질환 발병에 감정 스트레스가 관여한다는 점을 입증한 만큼 후속 연구에서 이를 제어하는 기술도 개발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강경주 기자 quraso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