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부 박모 씨(42)는 마트에서 장을 볼 때마다 품목을 가리지 않고 겉포장에 ‘제로(0)’, ‘무(無)’, ‘저(低)’ 등의 글씨가 있는지 꼭 살핀다. 되도록 각종 첨가물이 적게 든 제품을 고르기 위한 박 씨의 고육지책이다. 건강을 위해 채소도 무농약이나 유기농만 고른다는 박씨는 “작은 글씨로 쓰여진 성분표를 일일이 보고 제품을 고르기가 어려운데 최근엔 겉포장부터 합성첨가물들이 들어 있지 않다는 점을 홍보하는 제품들이 많아 장보기가 한결 편하다”고 말했다.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식품안전에 대한 우려와 건강을 따지는 소비자가 많아지면서 합성첨가물, 색소, 설탕, 보존료, 합성착향료 등을 뺀 무첨가 가공식품의 인기가 높다. 이른바 ‘마이너스 마케팅’이다. 식품업계는 일반 제품에 비해 10~20%가량 비싼 무첨가 제품을 내세워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대체 식품을 개발하는 식품기술(푸드테크) 스타트업 인테이크(INTAKE)는 올해 첫 신제품으로 ‘투명한 콜라’인 ‘슈가로로 클리어 콜라’를 출시해 화제를 일으켰다. 콜라 특유의 진한 갈색 빛을 내기 위해 반드시 들어갔던 합성첨가물인 캐러맬색소를 뺀 콜라를 내놓은 것이다. 캐러멜색소는 최종당화산물(AGEs)이라는 물질인데, 이것은 노화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롯데칠성음료는 ‘펩시 제로슈거 망고’를 내놨다. 앞서 출시한 ‘펩시 제로 슈거 라임향’이 인기를 얻자 후속 제품을 출시한 것이다. 롯데칠성은 MZ세대를 겨냥해 ‘칠성사이다 제로’, 과일향 탄산음료 ‘탐스 제로’ 등도 판매하면서 제로 음료 마케팅 효과를 톡톡히 누리는 중이다.
국민배우 김혜자 씨가 6년 만에 다시 출시되는 ‘혜자 도시락’ 시식을 위해 GS25 공장을 방문했다.GS리테일은 김혜자 씨가 지난 1일 인천 서구 오류동에 위치한 GS25의 전용 도시락 제조처인 후레시퍼스트에 방문해 제품을 시식하고 생산 공정을 둘러봤다고 7일 밝혔다.2010년 9월에 나온 김혜자 도시락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혜자롭다’ 등의 신조어를 만들며 편의점 도시락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7년간 판매를 하는 동안 김혜자 도시락은 총 40여종의 상품으로 출시됐다. 대중의 인기를 끌며 누적 매출액이 약 1조원에 달했다.김혜자 씨는 상품 샘플을 시식했다. 생산 공정도 살폈다. 방진모자와 가운, 위생 신발 등을 착용하고 에어샤워를 거쳐 도시락 공정라인에 들어간 김혜자 씨는 특히 하루 13만식을 제조하는 대규모 설비 규모에 큰 관심을 보였다. 매일 900여개의 솥으로 밥을 짓는 취반기에 대해 물어봤다. 컨베이어 벨트 옆에서 도시락 용기에 반찬을 담고, 김밥 속재료를 올리는 모습을 유심히 관찰하기도 했다.GS25와 김혜자 씨는 지난해 2월부터 도시락 출시를 위한 ‘혜자로운 집밥’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상품 출시를 위해서 약 1년의 준비 과정을 거쳤다. 이정표 GS리테일 마케팅부문장은 “물가가 가파르게 치솟고 있는 가운데 부담이 적은 가격으로 풍성한 먹거리를 원하는 고객들이 ‘혜자 도시락’을 떠올리며 소환을 요청한 경우가 많았다”며 “새로운 버전의 혜자 도시락이 뉴트로에 열광하는 MZ세대까지 사랑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쳐 나갈 예정”라고 말했다.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
7일 서울 마포구 롯데리아 홍대점에서 모델들이 롯데리아 신제품 '전주비빔라이스버거'를 선보이고 있다.이번 신제품은 2016년 11월 단종 이후 약 7년만에 새롭게 출시된 라이스버거 라인 제품으로 한국 대표 전통음식 비빔밥을 버거로 재해석했다.전주비빔라이스 버거는 한정 판매 제품으로 7일 부터 전국 롯데리아 매장에서 구매 가능하며, 전주비빔라이스버거, 치킨버거, 포테이토, 치즈스틱, 그리고 콜라 2잔으로 구성된 '전주비빔한상' 메뉴로도 만나볼 수 있다. 허문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