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사고 공화국'이라는 오명이 어색하지 않을 만큼 각종 재해와 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 그 배경에는 성장 위주의 경제정책과 사회 분위기에 따른 부실 시공이나 안전불감증 등이 자리잡고 있지만 재난보도 시스템의 부재도 공범으로 지목받고 있다. 96년 7월 태풍 페이호가 남해에 상륙했을 때도 한 시간만 일찍 긴급방송을 했더라도 50여명의 사망자와 막대한 재산피해는 막을 수 있었을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최근 일어난 대구 지하철 참사도 부실한 재난방지체제가 빚어낸 인재로 평가받고 있지만 이를 개선해야 한다는 언론의 목소리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지 않고 있다. 95년 일본의 고베 대지진 당시부터 일본의 위기관리체제와 재난보도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연구해온 이연 선문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한ㆍ미ㆍ일의 위기관리시스템과 재난보도 사례를 비교한 연구서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학문사)을 펴냈다. 제1부에서 위기관리의 이론적 배경과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에 대해 논한 뒤 위기의 본질과 유형,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의 본질, 체계적인 위기관리 대응방법, 미국의 위기관리체제와 9ㆍ11 테러사건 당시 보도태도, 일본의 위기관리체제와 고베대지진 사례 등을 체계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어 성수대교 붕괴사건, 대구 가스폭발사건, 삼풍백화점 붕괴사건, 시프린스호 기름 유출사건, 태풍 루사 피해, KAL 괌 공항 추락사고, 화성 씨랜드 참사, 인천호프집 화재, 경주원전 방사능 누출사고, 대구지하철 화재 등에 대해서도 각각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이희용기자 heey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