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리버리는 코로나19 면역치료제로 개발 중인 ‘iCP-NI’가 덱사메타손과의 비교시험에서 치료 효능과 안전성을 증명했다고 7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iCP-NI 투여 시에는 덱사메타손에서 나타나는 고혈당증 및 면역마비와 같은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덱사메타손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 표준치료제로 등록한 스테로이드계열 소염제다.
덱사메타손은 스테로이드계열 소염제 특성상 우리 몸을 보호하는 내재면역계(innate immunity) 자체를 무력화시킨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면역반응을 아예 일어나지 않게 해 염증을 억제하는 기전이다. 외부 감염인자에 대한 자체 보호 방어력인 면역체계를 끊음으로써 염증을 낮추지만, 다른 감염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시키는 것과 같다고 했다.
이에 따라 스테로이드 계열 소염제들은 무혈성괴사, 바이러스 제거 지연, 당뇨, 고혈당, 우울증 을 포함한 정신장애 등 이상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셀리버리는 덱사메타손의 대표적인 이상반응인 혈당증가와 면역마비 증상에 대해 iCP-NI와 비교실험을 진행했다. 덱사메타손 투여 시 실험동물의 혈당은 위약군 대비 177% 늘어났다. iCP-NI를 투여한 개체에서는 정상 수준을 유지함을 확인했다.
(왼쪽 부터) 위약 투여군, 덱사메타손 투여군, iCP-NI 투여군에서의 흉선 크기 변화. 면역세포의 생성 및 성숙을 담당하는 주요 면역기관인 흉선의 크기가 덱사메타손 투여군에서는 크게 감소했지만, iCP-NI 투여시에는 정상(오른쪽)과 동일한 크기를 보이며 면역제어 능력을 확인했다./자료 제공=셀리버리또 iCP-NI를 고용량 투여한 후 면역장기인 흉선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정상과 동일한 수준을 보였다. 덱사메타손은 저용량 투여군에서 흉선의 무게가 위약군 대비 79% 줄었고, 고용량에서는 85% 감소했다. 면역 기능을 담당하는 면역세포의 생성과 성숙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iCP-NI 투약군에서는 면역 이상반응도 없었다. 덱사메타손 투여군에서는 인체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비장 내 내제면역 T 세포(CD3+ T cell)의 수가 줄면서, 면역세포 자체가 부족해지는 림프구 감소증 등이 나타났다. iCP-NI 투약군에서는 면역계의 활성이 위약군 대비 19.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셀리버리는 현재 iCP-NI의 코로나19 치료 효능을 입증하기 위해 중증염증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iCP-NI와 덱사메타손의 생존율 향상, 치명률 감소 및 치료효능 차이, 두 약물의 시너지 효과에 대해서도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회사는 결과가 도출되는 대로, 연구 결과를 미국과 유럽 담당 임상시험수탁기관(CRO)인 코방스와 오피스에 전달할 계획이다.
조대웅 셀리버리 대표는 “덱사메타손에 의한 고혈당 증상은 병용 투여되는 항바이러스제 렘데시비르 등의 약효를 방해할 수도 있다”며 “혈당조절장애를 가진 당뇨병 환자에게는 덱사메타손 투여가 불가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를 통해 iCP-NI가 덱사메타손보다 사용이 자유로운 안전한 신약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제넥신은 인도네시아 식약처(BPOM)로부터 코로나19 백신 ‘GX-19N’의 임상 2·3상 계획을 승인받았다고 7일 밝혔다. 국내에서 개발된 코로나19 백신이 글로벌 임상 2·3상을 승인받은 것은 최초란 설명이다. 이번 임상은 인도네시아를 시작으로 다국가에서 1만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임상에서 GX-19N이 변이 바이러스에도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예정이다. 이후에는 3만명으로 확대해 임상을 진행할 계획이다.제넥신은 빠른 임상 진행을 위해 임상 2상과 3상을 동시에 진행한다. 초기에 등록한 300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안전성을 확인하면서, 바로 임상 3상에 진입할 예정이다. 임상 3상은 GX-19N 투여군과 가짜약(위약) 투여군으로 나눠 방어능을 확인하는 유효성 평가로 진행된다. 최소 60% 이상의 예방효과를 보여야 사용 승인을 받을 수 있다. 한국에서만 통용 가능한 면역원성 비교 임상과 달리, 이미 사용되고 있는 백신들과 동일하게 예방 효과를 증명하는 방식이라고 했다.GX-19N은 디옥시리보핵산(DNA) 기반의 백신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항원과 뉴클리오캡시드(NP) 항원을 동시에 표적한다. 광범위하고 강한 T세포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의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물론, 다양한 변이에 대해서도 높은 방어능을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국에서 진행한 임상에서는 중등도 이상의 심각한 전신 부작용이 없었다.제넥신 관계자는 “인도네시아를 시작으로 남미, 아프리카 등 다양한 국가에서 글로벌 2·3상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김예나 기자
한국거래소는 K-뉴딜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K-뉴딜 지수 선물‘ 3개 상품을 오는 19일 상장한다고 7일 밝혔다.이번에 상장될 선물 상품은 KRX BBIG K-뉴딜 선물, KRX 2차전지 K-뉴딜 선물, KRX 바이오 K-뉴딜 선물 등이다.K-뉴딜 지수와 관련한 투자에 따른 위험관리 수단을 제공하고 추가적인 상품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K-뉴딜지수 선물을 도입한다고 거래소는 설명했다.이 선물 상품의 거래 승수는 1000으로 1계약당 거래금액이 300만~600만원 수준이다. 기존 코스피200 선물이 계약당 거래금액이 1억원 안팎인 점과 비교하면 상당히 적응 비용으로도 투자할 수 있다. 호가 단위는 0.5포인트로 최소 가격변동 금액은 500원이다. 결제월은 3·6·9·12월로 최장 거래기간은 1년이다. 거래시간과 최종거리일, 최종결제일 등은 기존 코스피200과 동일하다.기초자산이 되는 K-뉴딜 지수는 작년 7월14일 정부가 발표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에 따라 거래소가 개발해 같은해 9월7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금융투자업계는 K-뉴딜지수를 활용해 상장지수펀드(ETF)나 상장지수증권(ETN) 등을 작년 10월부터 출시했고, 현재 활발히 거래 중이라고 거래소는 전했다. 실제 K-뉴딜 지수 관련 ETF 상품의 시가총액은 작년 10월 약 1000억원(5개 종목)에서 올해 6월 약 1조8000억원(14개 종목)으로 놀었다. 올해 1~6월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396억원이다.K-뉴딜 지수 선물과 함께 에코프로비엠, 천보, 삼성바이오로직스, NHN한국사이버결제, 카카오게임즈, 삼성엔지니어링, 한화시스템, 보령제약, 스튜디오드래곤, 콜마비앤에이치, 삼천당제약, SFA반도체 등 12개 종목의 주식선물과 씨젠의 주식옵션도 상장된다.거래소는 상장 기초증권 중에서 유동성, 안정성, 재무상태 등의 요건에 부합하고 거래수요가 있는 상품을 정기적으로 상장하고 있다. 올해는 K-뉴딜 지수 구성 종목이 다수 포함돼 개별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상품에 대한 거래수요 증대에 부응했다고 거래소는 강조했다.또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은 TIGER 미국 나스닥100 ETF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선물도 상장된다. ETF 투자자들의 위험관리 수요를 중촉하고, 이 시장의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다.거래소는 “K-뉴딜 지수 선물 공급은 정부 정책을 지원하고 우리 자본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자들에게는 미래 성장산업과 관련된 새로운 투자 상품이 제공되는 한편, 위험 관리가 용이해진 금융투자업계의 다양한 신규 상품 출시가 촉진되는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다.주식 선물·옵션과 관련해 거래소는 “기초자산 확대를 통해 다양한 종목에 대한 위험 관리 수단을 제공하고 투자 수요를 충족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세계보건기구(WHO)가 로슈의 악템라와 사노피의 케브자라 등 관절염 치료제를 코로나19 중증 환자의 치료 용도로 사용해도 좋다고 권고했다. 항염증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함께다. 6일(현지시간)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WHO는 환자 1만930명의 치료 과정을 분석한 결과, 이들 약물로 중증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면 사망 위험과 기계적 인공호흡의 필요성이 줄어든다고 결론냈다. 악템라와 케브자라는 ‘인터루킨-6’ 억제제다. WHO에 따르면 관절염 약 1종과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함께 복용한 환자의 감염 후 28일 이내 사망 확률은 21%였다. 기존 표준 치료를 받은 환자는 25%로 나타났다. 환자 100명당 4명이 더 생존하게 되는 셈이란 설명이다. 또 관절염 약과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복용한 사람들이 인공호흡 장비에 의존하거나 사망으로 이어질 확률은 26%로 나타났다. 표준 치료를 받은 사람 33%보다 낮았다. 환자 100명당 7명이 인공호흡 장비가 없이도 생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O가 분석한 1만930명 중 6449명은 로슈 또는 사노피의 관절염 치료제를, 4481명은 표준 치료 또는 위약을 받았다.재닛 디아즈 WHO 긴급보건 임상관리팀장은 “코로나19가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지만 백신 물량이 부족한 빈곤 국가들에 이 같은 약에 대한 접근을 높이기 위해 더 많은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코로나19 치료에 대한 악템라의 긴급사용을 승인했다. 국내에서는 JW중외제약이 악템라의 국내 개발 및 판매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김예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