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기업 3년간 10조 투자
삼성바이오, 4공장 1.7兆 투입
단일 규모론 세계최대 생산기지
셀트리온, 3공장·연구센터 건설
전체 생산량 25만L로 늘어나
삼성바이오, 4공장 1.7兆 투입
단일 규모론 세계최대 생산기지
셀트리온, 3공장·연구센터 건설
전체 생산량 25만L로 늘어나

< 송도 바이오 공장 온라인 기공식 >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인천 송도에서 열린 ‘대한민국 바이오산업’ 행사에 참석해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온라인 기공식에서 발파버튼을 누르고 있다. 왼쪽부터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문 대통령,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허문찬 기자 sweat@hankyung.com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송도 연세대 글로벌캠퍼스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4공장 착공식을 18일 열었다. 25만6000L 규모의 송도 4공장은 단일 공장 기준으로 세계 최대 생산 시설이다. 기존 1위였던 이 회사 3공장(18만L)보다 규모가 크다. 연면적만 23만8000㎡(약 7만2000평)로 서울 상암월드컵경기장의 1.5배 수준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공장 건설에 1조7400억원을 투입한다. 제2바이오캠퍼스 부지 확보까지 완료되면 전체 투자비는 2조원을 웃돌 전망이다. 4공장 건설로 임직원 1850여 명이 신규 채용된다. 건설 인력은 6400여 명 수준이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5월 2030년까지 약 40조원을 투자해 한국을 세계 바이오·합성의약품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시키겠다는 내용의 비전 2030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의약품 연구개발(R&D) 인력 2000명, 바이오와 합성의약품 생산 인력 8000명을 직접 고용한다는 계획이다. 3공장 증설은 비전 2030 계획의 후속 단계다. 셀트리온은 40조원 중 20조원은 송도를 거점으로 바이오의약품 분야에 투자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자사의 바이오의약품 복제약(바이오시밀러)을 생산하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수탁생산을 위주로 하는 회사다. 이번 공장 증설로 두 회사의 바이오의약품 생산량은 55만4000L에서 87만L로 57.0% 늘어난다.
정부가 주요 헬스케어기업 36개와 벤처캐피털의 투자 규모를 조사한 결과 2023년까지 약 10조원에 달할 것으로 집계했다. 매년 20%의 생산 증가와 9300명의 신규 고용창출 효과가 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바이오 관련 예산을 대폭 늘려 민간 기업의 투자 확대에 화답했다. 우선 바이오헬스 분야 R&D 예산은 올해 1조4000억원 수준에서 30% 늘어난 1조7000억원으로 늘었다. 정부는 소재·부품·장비(소부장)의 국산화와 의료기기 패키지 시장 진출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의약품제조혁신센터 구축 계획도 내놓았다. 의약품의 생산·유통 구조 고도화, 인력 양성 지원 등을 위한 시설이다. 연세대 글로벌캠퍼스 내 바이오 인력양성센터를 구축해 2024년 개발·공정 인력을 연 2000명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