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 치료가 뇌 구조를 변화시켜 만성 요통을 개선한다는 사실을 한미 공동 연구진이 임상으로 확인했다.
한국한의학연구원 임상의학부 김형준 책임연구원은 미국 하버드대 의대 바이오메디컬이미징센터 비탈리 내퍼도 교수팀과 함께 이같은 연구성과를 냈다고 20일 발표했다. 침 치료가 요통 환자의 뇌 일차감각영역 변화를 유발해 둔해진 허리의 감각을 회복시킨다는 것이 요지다.
임상시험에는 78명의 환자가 참여했다. 이를 '진짜 침' 치료군 18명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 60명으로 나눠 진행했다. 대조군은 다시 37명의 '가짜 침' 치료군과, 침 치료를 전혀 받지 않은 23명의 일반 치료군으로 나눴다.
'진짜 침' 치료는 혈자리인 요양관, 신수, 위중, 태계 등 4곳과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는 부위 2~3곳에 추가로 침을 놓는 시술로 진행됐다. '가짜 침' 치료는 피부를 통과하지 않는 침으로 피부에 약한 자극을 주는 등 실제로 침을 맞는다고 느끼게 해 플라시보 효과를 유도했다.
연구팀은 4주간 총 6회 침 치료를 실시한 뒤 전체 피험자를 대상으로 허리 부위 촉각 예민도를 검사했다. 검사결과 진짜 침 치료를 진행한 실험군 18명은 전보다 예민도가 18.5%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짜 침(37명) 및 일반 치료군(23명)은 오히려 예민도가 4.9% 둔감해졌다.
연구팀은 이어 fMRI(기능적 자기공명영상장치)를 이용해 환자들의 뇌 구조 변화를 관찰했다. 허리 감각이 둔해지면 MRI 사진상 허리 영역을 관장하는 대뇌 회백질 부피가 증가한다는 사실에 착안했다. 연구팀은 '진짜 침' 치료군 18명만 대뇌 회백질 부피가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허리 감각이 좋아졌다는 증거다. 이와함께 '진짜 침' 치료군만 대뇌 백질 구조 이상이 회복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특수 MRI인 확산텐서영상(DTI)을 썼다.
김형준 책임연구원은 "객관적 지표로 증명이 어려웠던 침 치료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것"이라며 "향후 섬유근육통, 신경병증성 통증 등에 대한 (침 치료) 효능 연구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기관 고유사업 및 보건복지부 한의국제협력연구사업 지원으로 수행됐다. 관련 논문은 뇌 영상학 분야 학술지 '뉴로이미지'에 실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 목적으로 사용되는 목두건이나 반다나(대형손수건)는 비말(침방울) 차단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1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듀크대 연구진이 마스크 14종과 목두건·반다나를 대상으로 비말 차단 효과를 실험한 결과를 보도했다.연구진은 참가자에게 마스크 14종과 목두건·반다나(대형손수건) 등 마스크 대용품 2종, 마스크 원재료 1종 등을 착용한 뒤 같은 문장을 반복해 말하게 했다. 이어 레이저와 휴대전화 카메라를 이용해 비말이 얼마나 튀는지 측정했다.실험 결과 비말 확산을 가장 잘 막은 도구는 별도 숨구멍이 달리지 않은 N95 필터 마스크였다. 이 마스크를 착용하면 입에서 나오는 비말의 양이 아무것도 착용하지 않았을 때 분출되는 비말 양의 0.1% 미만이었다.이어 수술용 마스크, 표면이 폴리프로필렌인 면 마스크, 두 겹의 폴리프로필렌이 겹쳐진 에이프런 마스크, 마스크 원재료 등이 뒤를 이었다.플리스 소재의 목두건과 반다나는 사실상 효과가 없었다. 특히 목두건은 입을 가리지 않은 경우보다 비말 양이 도리어 10% 많이 측정됐다.연구진은 "마스크를 두고 논란도 많고 (방역에) 효과가 없다는 사람들도 있지만 대부분의 마스크는 효과가 있다"면서 "이번 실험에서도 마스크가 효과가 있음이 드러났다"고 설명했다.이미경 한경닷컴 기자 capital@hankyung.com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에요. 우리의 뇌는 주변 사람들과 관계를 쌓기 위해 존재합니다. 그 관계가 단절되는 순간 치매 위험이 급격히 높아지게 돼요. 비대면 시대에 고민이 깊어지는 이유입니다.”올 4월 대한치매학회 이사장에 취임한 박건우 고려대안암병원 신경과 교수(58·사진)는 지난 22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노인의 사회적 접촉이 줄어드는 점이 걱정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대한치매학회는 치매 연구를 위해 의사, 간호사 등 의료진이 주로 참여하는 국내 최대 치매 관련 학술단체다.박 이사장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신경과와 정신건강의학과를 각각 전공한 치매 권위자로, 2022년 학회가 20주년을 맞을 때까지 학회를 이끄는 중책을 맡았다.박 이사장은 이날 코로나19로 인한 치매 예방의 어려움을 토로하면서 치매 예방을 위해 평소 지켜야 할 세 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첫째는 운동이다. 박 이사장은 “인간은 동물”이라며 “움직이지 않으면 뇌는 죽는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로 운동하기도 어렵지 않으냐는 질문에 “그것은 핑계”라고 잘라 말했다. 박 이사장은 “실내에서 할 수 있는 운동도 많고, 유튜브 등 각종 매체를 통해 실내 운동법을 얼마든지 배우고 실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박 이사장이 강조하는 두 번째 치매 예방 원칙은 ‘뇌에 나쁜 일 하지 않기’다. 박 이사장은 “권투 등 뇌에 충격을 많이 주는 스포츠를 하는 사람의 치매 발병률이 유의미하게 높다”며 “뇌에 지나친 트라우마를 남기는 일은 삼가야 한다”고 말했다.마지막 원칙은 ‘뇌에 자극 주기’다. 박 이사장은 “머리를 지속적으로 써야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며 “노래와 언어 공부도 좋은데, 가장 좋은 방법은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인간의 삶은 사람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가치를 넓혀가는 사냥의 과정”이라며 “목표를 이루고 수확한 것을 주변과 나눔으로써 뇌의 ‘예비적 능력’을 성장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코로나19로 당장 사회적 접촉을 늘릴 수는 없겠지만 주변에서 어르신들에게 희망적인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줄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며 “올해 학회의 가장 중요한 고민거리도 바로 이 부분”이라고 했다.치매 권위자로서 박 이사장만의 치매 예방법이 있지는 않을까. 그는 “‘끊임없는 도전’이 나만의 비결이라면 비결”이라고 말했다. 박 이사장은 3D TV가 출시됐을 때 3D TV 시청 시간과 시력, 정신질환의 상관관계를 연구해 세계 표준으로 자리잡은 안전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치매와 무관한 연구도 다수 수행했다. 그는 “나 자신이 치매 의사인지 헷갈릴 정도로 항상 새로운 분야에 도전한다”고 말했다.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
전남 장성군에서 한방침을 제조하는 다나메디컬(대표 양판정·사진)은 지름 0.10㎜의 미소안면침을 개발했다고 6일 발표했다. 일본에서만 생산하던 지름 0.12㎜ 의 초정밀 침보다 더 가는 머리카락 굵기(0.1㎜)의 침이다.미소안면침은 주로 얼굴 및 머리에 시술하는 데 쓰인다. 다나메디컬 측은 “얼굴은 침을 맞을 때 고통이 가장 큰 부위인데 침이 가늘수록 피부에 들어갈 때 고통이 적고 출혈도 막을 수 있다”며 “침의 끝 부분을 로켓 모양으로 잘 연마해 시술 시 자극을 거의 느낄 수 없다”고 소개했다.그동안 국내에서 생산된 한방침은 대부분 지름 0.16~0.18㎜였다. 일본의 세린사(社)만 0.12㎜의 침을 제조해 전 세계 고부가가치 한방침 시장을 독점해왔다. 한 개에 15원 정도의 기존 침보다 가격이 10배 이상 비싼 초정밀 침을 국내 기술로 개발해 수입 대체 효과가 클 것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이 회사는 초정밀 침을 제조하기 위해 침 자동화 생산기계 등 110대의 제조시설을 모두 자체 개발했다. 한방침은 침 본체인 침체와 침을 놓기 위해 손가락으로 잡는 침병으로 이뤄진다.이 회사는 침 생산 업체 중 처음으로 레이저 용접을 이용해 침체와 침병을 결합했다. 침체와 침병을 합치기 위해 사출 방식을 사용하는 다른 업체와 차별화를 꾀했다. 지름 0.10㎜ 스테인리스 스틸 철사를 생산하는 국내 업체로부터 철사를 구매해 자른 뒤 끝을 뾰족하게 연마하는 것도 핵심 기술이다. 완벽한 멸균침 제조를 위해 산화에틸렌(EO) 가스로 멸균하고, 헤파(HEPA)필터를 갖춘 클린룸에서만 침을 생산한다. 다나메디컬은 이달 미소안면침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다.장성=임동률 기자 exi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