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관 및 광역자치단체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현황 공개로 앱 개발 과정 및 사후 관리 등의 문제점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일부 앱은 수억원의 예산을 들였으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을 받고 있다.

여기에 민간에서 개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정부기관이 내놓아 산업 활성화 및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막는다는 비판도 나온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실효성 문제의 경우 특허청의 '특허정보검색' 앱은 막대한 예산을 들여 제작할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을 받는 대표적인 예이다.

특허정보는 일반적인 수요가 낮은데다, 전문적인 정보여서 PC를 통한 이용도가 높은 만큼, 굳이 모바일용으로 제작할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이다.

더구나 특허청은 특허정보를 모바일웹으로도 내놓기도 했다.

그러나 특허청은 모바일웹에 앱의 검색 기능과의 차별화를 꾀한다는 명목으로 검색 기능을 설치해놓지 않아 모바일웹의 사용성을 떨어뜨리기도 했다.

특히 특허정보에 대해 민간 업체가 이미 웹 서비스를 하는데다 모바일 서비스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특허정보검색 앱이 출시돼 논란이 되기도 했다.

정부기관이 자체 개발보다는 공공정보의 공개화를 통해 민간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영역이 상당하다는 반응도 나온다.

지자체 위주로 진행 중인 지리정보 등을 이용한 여행 및 교통 관련 앱도 민간에 맡겨야 한다는 게 상당수 전문가의 의견이다.

지자체는 앞다퉈 여행 및 교통 관련 앱 개발에 경쟁적으로 나서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상당수의 앱이 정보 나열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고 평가한다.

지자체 간의 여행 앱 개발 경쟁에는 막대한 예산마저 소요되고 있다.

서울시의 'I-tour' 앱과 전라남도의 'U남도여행길잡이'에는 각각 3억원 정도의 예산이 투입됐다.

한 포털 관계자는 "제대로된 정보만 공개돼 있다면 다양한 여행 경험의 소셜화와 위치정보 등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면서 "이 같은 시도는 업체가 수익모델을 마련하면서 동시에 사용자에게 편익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민간 개발의 전제조건으로 정부기관 및 지자체가 가진 정보의 규격화 등을 꼽았다.

다양한 모바일 운영체제(OS) 및 디바이스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모바일웹에 대한 관심 부족 역시 이번 현황 조사로 여실히 드러났다.

행정안전부가 지난 6월 정부의 모바일 전자정부 서비스 제공 방식을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모바일웹으로 권고했으나,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 게 현실이다.

상당수의 정부기관 및 지자체에서는 행안부의 권고에도 하반기에 앱 개발을 추진했다.

다만 기획재정부와 지식경제부 등은 상반기 아이폰용 앱을 내놓고 하반기에 안드로이드용 앱 개발을 추진했다가, 행안부의 권고안이 나오자 이를 중단하고 모바일웹을 추진하기로 하는 등 전향적인 모습도 나타난다.

물론 행안부의 민원24시를 포함한 행정 서비스 등 앱 형태가 효율적인 서비스와 장애인 등 소수자를 위한 앱은 정부기관이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이 같은 문제점에 대해 전문가들은 정부 측이 공공정보의 앱 개발과 홍보에 대한 총체적인 거버넌스를 세워야 할 때라고 입을 모은다.

연세대 강정수 박사는 "이젠 앱이 넘쳐나는 시대"라며 "정부 측 앱이나 웹을 통합적으로 보여주는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스마트폰의 갑작스러운 대중화로 공무원들이 전향적으로 나섰지만, 전체적인 앱 및 웹, 소셜미디어 생태계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진 상황에서 급하게 앱 개발이 이뤄진 게 문제"라며 "종합적인 전략 아래 어떤 앱을 개발할 것인지, 어떻게 홍보할 것인지, 사후 관리는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이 없다면 단순히 작은 효용성만 보여준 채 사라지는 앱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광빈 기자 lkb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