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출범 이후 회원국 첫 추가…아태지역 외 국가 가입도 처음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11개 회원국이 31일 온라인 회의를 열어 영국의 신규 가입에 합의했다고 교도통신과 일본 공영방송 NHK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2018년 출범한 CPTPP 회원국이 늘어나는 것은 처음이며, 아시아·태평양 국가가 아닌 나라가 가입하는 것도 최초다. 영국의 CPTPP 가입은 7월 15∼16일에 뉴질랜드에서 열리는 정례 회의에서 정식으로 승인될 것으로 보인다. 고토 시게유키 일본 경제재생담당상은 "자유무역과 개방되고 경쟁적인 시장이 지역을 넘어 넓어지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영국은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 이후 새로운 수출 시장을 확보하기 위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공을 들이면서 일본이 주도하는 CPTPP에 2021년 2월 가입을 신청했다. 경제 대국인 영국의 가입으로 CPTPP는 유럽으로 영향력을 확대하며 새로운 단계를 맞이했다고 교도통신은 분석했다. 영국이 합류하면 CPTPP 회원국의 국내총생산(GDP)이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에서 15%로 높아진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전했다. CPTPP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이 결성한 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이다. 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임기 당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서 탈퇴하자 일본, 캐나다, 호주, 멕시코, 페루, 베트남 등 나머지 국가가 만들었다. CPTPP는 상품 무역에서 관세 철폐 수준이 높은 편이다. 또 기술 장벽, 투자, 서비스, 지식재산권, 전자상거래 등과 관련된 조항도 포함하고 있다. 중국, 대만, 에콰도르, 코스타리카 등이 가입을 신청한 상태이며, 한국도 가입을 추진 중이다. /연합뉴스
닛케이 "야간 트럭 운전 위해 설치…운송인력 부족 대응" 일본 정부가 이르면 내년에 길이 100㎞를 넘는 고속도로 구간에 자율주행 전용 차로를 도입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31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자율주행 전용 차로는 수도권과 나고야 주변 지역을 잇는 신토메이고속도로의 시즈오카현 일부 구간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하마마쓰 휴게소와 스루가완누마즈 휴게소 사이의 약 115㎞ 구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 편도 3차로인 이 구간은 곧게 뻗은 길이 많고 차량 정체가 잘 빚어지지 않아 자율주행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됐다. 일본 정부는 도로에 일정한 간격으로 전자 센서와 카메라를 설치해 노면과 차량 상황을 파악하고, 안전 운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방침이다. 길이 100㎞ 이상의 고속도로 구간에 자율주행 차로가 만들어지는 것은 세계 최초라고 닛케이는 전했다. 일본 정부는 인구 감소와 트럭 운전사의 운행 시간 제한 등으로 운송인력이 부족해질 것에 대응해 자율주행 차로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야간에 운행하는 트럭이 자율주행 차로를 주로 이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UD트럭, 미쓰비시후소트럭·버스, 미쓰이물산 등 트럭 생산 업체들은 정부 방침에 대응해 자율주행 트럭 개발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서는 내달 1일부터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자율주행차가 특정한 조건에서 공공 도로를 주행하는 것이 허용된다. 또 트럭 운전사는 내년 4월부터 연속 운전 시간이 4시간 이내로 제한되며, 연간 연장 근무는 960시간까지만 허용된다. 닛케이는 "운전사가 주행 중에 쉴 수 있으면 노동 규제를 위반하지 않으면서 운송 효율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고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이 조기 총선으로 하원이 새롭게 구성됨에 따라 개혁 드라이브에 나선다. 30일(현지시간) 스푸트니크 통신 등에 따르면 토카예프 대통령은 전날 개원한 제8대 하원 본회의에서 '강력한 대통령, 영향력 있는 의회, 책임 있는 정부' 등 3대 축을 기반으로 "새로운 카자흐스탄 건설"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1년도 안 되는 기간 국민투표와 총선 등을 포함해 다섯번의 전국적인 선거를 여러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치렀다"고 자평했다. 이어 지속적인 개혁을 위해서는 선거제도의 변화가 중요하다면서 "올해 처음으로 45개 주요 지역의 지방정부 수장을 뽑는 직접 선거가 열리고, 추후 기초자치단체장도 시민들이 직접 선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토카예프 대통령은 또 개혁 정책으로 대대적인 주택 공급과 국외로 불법 반출된 자산의 국가환수 등을 언급했으며 경제 정책으로는 개방적이고 자급자족하는 시장경제의 창출을 최우선 순위로 제시했다. 아울러 도로와 전력, 가스관 등 인프라의 심각한 부족을 개선하기 위해 2029년까지 국가기반시설 확충 계획을 추진할 것을 제안했으며 인적자원 개발과 취약계층 지원, 디지털화를 통한 행정 효율화 등의 정책도 발표했다. 카자흐스탄은 지난 19일 실시한 조기 총선으로 새 하원(마질리스)이 개원했으며 내각이 전원 사퇴한 지 하루 만인 30일 새 총리에 스마일로프(50)가 재임명돼 토카예프 대통령의 개혁정책을 실행하는 한 축을 담당하게 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