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주요 도시에서 시작된 ‘제로 코로나’ 완화 조치가 산둥성과 후베이성 등 중국 전역으로 확산하고 있다. 중국 최고지도부는 내년 경제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회의를 잇달아 개최한다. 본격적 경기 부양책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위드 코로나’ 기대에 위안화와 중화권 증시가 동반 강세를 보이고 있다.
확산하는 ‘위드 코로나’
산둥성과 간쑤성, 후베이성, 저장성은 5일부터 대중교통 이용이나 공공장소 출입 시 코로나19 유전자증폭(PCR) 검사 음성 결과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중국은 그동안 제로 코로나 기조 아래 감염자를 찾아내기 위해 PCR 검사를 1~3일에 한 번은 받도록 강제해왔다. 이를 폐지하는 것은 감염자를 예전처럼 철저히 찾아내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앞서 베이징, 상하이, 톈진, 충칭 등 4대 직할시를 비롯해 광둥성 광저우와 선전, 쓰촨성 청두, 허난성 정저우 등 인구 2000만 명에 육박하는 대도시들이 먼저 PCR 검사 결과 제출 의무를 철폐했으며, 이 조치가 전국으로 퍼져가고 있다.
경제매체 제일재경은 정부 내에서 코로나19 전염병 등급을 ‘갑(甲)류’에서 ‘을(乙)류’로 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갑류와 을류의 가장 큰 차이는 정부가 감염자와 밀접접촉자를 강제로 격리할 수 있느냐 여부다.
중국의 신규 코로나19 감염자는 전날 2만9171명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27일 3만8808명으로 고점을 찍은 뒤 7일 연속 감소세다. 다만 방역 정책 완화와 오미크론 변이의 전염성을 감안하면 실제 감염자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시장의 관심은 중국 공산당 지도부가 잇달아 개최하는 주요 회의로 쏠리고 있다. 시진핑 국가주석을 위시한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 24명은 오는 8일께 20대 지도부 구성 이후 첫 회의를 연다. 중앙정치국 회의는 한두 달에 한 번 열리며, 12월 회의에선 통상 이듬해 경제정책의 가이드라인을 결정한다. 이어 다음주에는 이 가이드라인을 구체화하는 중앙경제공작회의가 개최된다. 중앙경제공작회의에는 중앙위원회급인 성·시 당서기, 국무위원, 국유기업 수장 등이 참석한다.
전문가들은 이번 회의들을 통해 중국 지도부가 제로 코로나 대신 ‘선별적 방역’이라는 키워드를 채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염병 통제와 경제 발전의 균형’에서 ‘성장 우선’으로 선회할 것인지도 주목된다.
중화권 증시 석 달 만에 최고치
지방별로 위드 코로나로 가는 구체적 조치가 나오자 금융시장도 화색을 보였다. 이날 상하이 외환시장에서 장중 위안화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4%가량 하락(위안화 가치 상승)한 달러당 6.9511위안의 최저치를 나타냈다. 위안화 환율이 달러당 6위안대로 떨어진 것은 지난 9월 19일 이후 두 달 반 만이다. 홍콩 역외시장에서도 1.16% 하락한 달러당 6.9349위안의 최저치를 보였다.
UBS와 스탠다드차타드 등 해외 금융회사들은 위안화 가치가 당분간 소폭 등락을 반복하다가 내년 하반기 위드 코로나가 정착되고 중국 경제가 반등하는 모습을 확인하면 강세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했다.
홍콩 항셍지수는 이날 4.51% 급등한 1만9518.29로 마감했다. 지난 9월 초 이후 석 달 만에 1만9000선을 회복했다. 텐센트(6.0%), 알리바바(9.2%), 징둥닷컴(11.2%) 등 대형 기술주들이 상승세를 주도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1.76% 오른 3211.81로 마감하면서 석 달 만에 3200선을 회복했다. 선전성분지수도 0.92% 상승했다. 외국인은 이날 본토 증시에서 58억위안 매수 우위를 보이면서 5거래일 연속 순매수 행진을 이어갔다.
70대 홍콩 재벌이 총 26억원에 달하는 럭셔리 브랜드 핸드백 77개를 경매에 내놓는다. 그는 마카오에서 뇌물과 자금 세탁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도피 중이다.2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홍콩 재벌 조셉 라우(71)는 다이아몬드가 박힌 에르메스 버킨백 6개를 비롯해 지난 20여년간 사들인 럭셔리 핸드백 77개를 오는 30일부터 내달 9일까지 소더비 온라인 경매에 부친다.그가 내놓은 버킨백 중 하나는 200만홍콩달러(약 3억1000만원)에 달하며, 핸드백 77개의 가치는 1630만홍콩달러(약 26억원)로 평가된다.부동산 개발업체 화인치업집단을 운영하는 라우는 2014년 마카오에서 궐석재판을 통해 뇌물과 자금 세탁 혐의로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마카오에 들어가지 않음으로써 형을 피하고 있다. 지난 24일 포브스 부자 순위에 따르면 그는 지난해 순자산 136억 달러로 홍콩 부자 50위 중 6위다. 라우는 디폴트에 처한 중국 부동산 회사 헝다 등에 투자해 막대한 손해를 본 후 경매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지난해 그는 크리스티 경매를 통해 자신의 유명 와인 컬렉션을 내다 팔아 6400만홍콩달러(약 101억원)를 벌어들이며 5배의 수익을 냈다. 1억5100만홍콩달러(약 238억원) 상당의 중국 황실 자기들도 소더비 경매로 팔았다.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중국 지도부가 연일 소비를 경제 성장 동력으로 강조하는 가운데 춘제(설) 연휴 내수 경기가 2019년에 근접한 수준으로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당국이 집계하는 코로나19 사망자도 감소세를 보였지만 '축소 논란'은 지속되고 있다. 29일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행정부인 국무원은 전날 리커창 총리 주재로 연 상무회의에서 "수요 부족이라는 두드러진 문제에 대응해 소비의 빠른 회복이 경제의 주요 동력이 되도록 역량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제로 코로나' 시절 경제를 지탱해 온 수출이 작년 4분기부터 마이너스로 돌아서면서 중국은 내수 활성화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 국무원 상무회의는 소비 확대의 구체적 방안으로 소비재 구입을 위한 소액대출의 합리적 확대, 오프라인 소비의 회복, 다양한 촉진 활동 전개 등을 제시했다. 중국 당국이 최근까지 빅테크(대형 정보기술기업) 규제의 일환으로 빅테크의 소액대출 등 금융업 규제를 강화했다는 점에서 소액대출 확대는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이다. 알리바바, 징둥 등 대형 전자상거래업체의 소비자 소액대출은 기존 은행을 위협하는 수준으로 성장했다. 국무원은 또 대외 개방, 기업의 국내외 무역 박람회 참가 지지, 수출세 환급 등 대외무역 안정화 조치를 시행한다는 방침도 내놨다. 민영 기업의 권익 보호, 플랫폼 경제의 지속적이고 건전한 발전도 약속했다. '위드 코로나' 전환 이후 처음 맞이한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제 기간 관광, 영화 등 소비 지표가 두 자릿수 상승세를 보였다. 중국 문화관광부에 따르면 춘제 연휴 전국 국내 여행객은 연인원 3억800만 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3.1%
중국 증시는 지난주 춘제 연휴(21~27일)로 휴장한 뒤 30일부터 거래를 재개한다. 올들어 상승률은 상하이종합지수가 5.68%, 선전성분지수가 8.76%로 주요국에서 벌어진 신년 랠리에 동참했다. 지난해 중국 경기와 증시의 발목을 잡아온 '제로 코로나'는 작년 12월을 기점으로 해제됐다. 이후 코로나19의 빠른 확산으로 경제 활동이 더욱 위축됐다. 하지만 최근에는 중국인 80% 이상이 이미 감염됐다는 당국의 분석에 힘입어 중국 경기가 당초 예상보다 빨리 반등할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번 주에는 기업의 경기 전망을 보여주는 구매관리자지수(PMI)가 발표된다. 국가통계국은 31일 제조과 비제조업(서비스업+건설업) 공식 PMI를 발표한다. 이어 경제매체 차이신이 1일에 제조업, 3일에 서비스업 민간 PMI를 내놓는다. PMI는 기업의 구매·인사 등 담당자를 대상으로 조사하는 경기 전망 지표다. 50을 기준으로 그 위면 경기 확장, 아래면 위축 국면임을 뜻한다. 공식 PMI는 대형 국유기업 중심이며, 민간 PMI는 수출기업과 중소기업을 포괄한다는 차이가 있다. 제조업 PMI 예상치는 공식이 49.7, 민간이 49.5다. 공식이 4개월, 민간이 6개월 연속 50을 밑돌 것으로 예측됐다. 다만 12월의 공식 47, 민간 49보다는 다소 상승했을 것이란 관측이다. 공식 비제조업, 민간 서비스업 PMI 예측치는 각각 52와 51.6으로 4개월, 5개월 만에 50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됐다.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