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대항마’로 불리는 미국 전기차 업체 리비안이 2분기에 시장 예측을 웃도는 호실적을 냈다. 그러나 올해 적자는 더 커질 것으로 봤다. 공급망 차질과 전기차 및 배터리의 핵심 원재료 가격이 급등한 영향이다.11일(현지시간) 리비안은 2분기 매출이 3억6400만달러(약 4732억원)로 시장 추정치(3억3750만달러)를 8% 웃돌았다고 발표했다. 순손실은 17억800만달러로 5억8000만달러였던 전년 동기의 3배 가까이 늘었다. 다만 주당 순손실은 1.62달러로 시장 추정치(1.63달러)보다는 소폭 양호했다. 보유현금과 현금성 자산 규모는 3월 말 170억달러에서 6월말 155억달러로 줄었다.리비안은 2분기 전기차 4401대를 생산했으며 4467대를 인도했다고 발표했다. 1분기보다 생산량은 75%, 인도량은 264% 증가했다. 리비안은 연내 생산량 목표치인 2만5000대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리비안에 따르면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차량 ‘R1S’와 픽업트럭 ‘R1T’의 상반기 북미 선 주문량은 9만8000대다.그러나 리비안은 이날 올해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기준 54억5000만달러의 손실을 낼 것이라는 전망도 함께 내놨다. 지난 5월 전망치(47억5000만달러 손실)보다 악화됐다. 리비안 측은 “리튬을 포함한 원자재 가격과 운송 비용의 상승, 공급망 차질 등의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리비안은 이에 수익성 개선 전략을 펼치고 있다. 이날 리비안은 연간 자본지출 전망치를 20억달러로 기존 전망치(26억달러)에서 낮춰잡았다. 지난달에는 인력의 6%를 내보낸다고 밝혔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가뭄으로 강 수위 낮아져 수질 악화 개연성" 폴란드의 주요 하천인 오데르강에서 물고기가 집단 폐사해 당국이 원인 조사에 착수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폴란드 당국자는 "최근 남서부 로어실레시 오와바 마을 북쪽 오데르강 200㎞ 구간에서 물고기 집단 폐사가 발생해 전날 자원봉사자와 낚시꾼들이 최소 10t에 달하는 물고기 사체를 걷어냈다"면서 "거대한 생태학적 재앙"이라고 말했다. 오데르 강은 체코에서 시작돼 폴란드와 독일 사이로 발트해까지 742㎞를 흘러가며 폴란드와 독일 국경을 형성한다. 폴란드에선 두번째로 긴 강이다. 생물학자인 에와 드루니악은 "지난 2주간 오데르강에서 죽은 물고기가 떠다녔지만 당국은 이에 대한 공지를 하지 않았다"라며 "일주일 전만 해도 20명가량의 사람들이 강에서 목욕하는 것을 보기도 했다"고 전했다. 강력한 산화제 성분이 강물에 유입돼 산소 수치가 증가하면서 물고기를 죽게 했을 개연성이 제기된다. 최근 가뭄으로 강 수위가 낮아져 수질 오염이 악화했을 것으로 관계 당국은 보고 있다. 폴란드 환경 당국은 검찰에 오데르강 오염 사실을 통보했으며, 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총리는 "강물을 오염시킨 장본인을 찾아 처벌하겠다"고 말했다. 오데르강과 인접한 독일의 일부 지자체는 집단 폐사의 원인이 밝혀질 때까지 강에 들어가지 말고, 그곳에서 잡은 물고기를 섭취하지 말라고 지역 주민에게 알렸다. /연합뉴스
핀란드 연구진 "40년간 북극 온도상승이 지구평균의 4배" 기후변화의 대표적 징후인 북극 온난화가 예측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핀란드 기상연구소 연구진이 11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들 연구진은 지난 40년 동안 북극 지역 온도가 지구 평균온도와 비교해 2∼3배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는 일반적 관측과 달리 거의 4배나 빠른 속도로 올라갔다고 밝혔다. 이날 '지구와 환경'에 게재된 이들의 보고서에 따르면 특히 노르웨이와 러시아 북쪽에 있는 바렌츠해 등 일부 지역은 지구 평균보다 무려 7배나 빠른 속도로 기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극 기온이 빠르게 상승한 결과 그린란드 육지를 덮고 있는 판빙이 빠르게 녹고 해수면이 상승했으며, 이는 북극에 그치지 않고 북미 등 다른 지역의 폭우, 폭염과 같은 날씨까지 영향을 미쳤다. 연구에 참여한 미카 란타넨 박사는 2020년 여름 시베리아에 나타난 혹서가 주목을 끌 때 동료들과 함께 북극 기온 상승 추이를 관찰하기로 했다면서, 북극 온난화 속도가 계속 빨라지면 그에 따른 기후 변화가 더 심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국 에너지부에 소속된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의 기상학자 만벤드라 K. 듀베이 박사는 조만간 북극 빙하가 모두 사라질 수도 있을만큼 매우 위험한 상황에 처했다며 더 정밀하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뉴욕타임스(NYT)는 듀베이 박사도 비슷한 내용의 보고서를 냈다면서 화석 연료를 계속 사용하고 온실가스를 배출함으로써 지구가 위험하게 뜨거워지고 기상이변이 발생했다는 사실이 이들 보고서에 명확히 드러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올여름 런던 등 유럽 여러 수도를 덮친 폭염, 한국의 이번 폭우, 북 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