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혼게이자이신문
니혼게이자이신문
'만화왕국' 일본 내부에서 세계 만화시장의 패권을 한국에 빼앗기게 됐다는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를 보유한 일본 최대 경제지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 만화가 종이 기반의 만화책과 동인지 시장을 벗어나지 못하는 사이 네이버와 카카오가 세계 웹툰시장 패권을 놓고 다투고 있다고 11일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는 "음악과 영화 등 엔터테인먼트 시장에서 강세인 한국이 웹툰 분야에서도 태풍의 눈이 되고 있다"며 "스마트폰에 최적화된 세로읽기형 만화 '웹툰' 플랫폼이 성장의 원동력"이라고 분석했다.

네이버 웹툰의 이용자수는 세계적으로 7200만명을 넘고, 70만명 이상의 만화가가 자유롭게 투고한 웹툰을 '라인망가'를 비롯해 10개 언어로 서비스를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달 중 6억달러(약 6681억원)를 투자해 캐나다 플랫폼 왓패드 인수를 마무리해 영어권을 중심으로 9000만명의 독자를 추가로 확보할 전망이라고도 전했다.

카카오 역시 이용자수를 공개하지 않지만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3000만~4000만명의 독자를 확보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니혼게이자이는 네이버와 카카오가 웹툰의 표준화와 '유튜브화'에 성공한 점을 세계 만화시장을 주도하는 비결로 꼽았다.
가로로 한페이지씩 스크롤하는 일본 웹툰은 화면구획이 많아 스마트폰에서는 읽기 어렵다. 반면 한국의 풀컬러, 세로읽기형 웹툰은 화면구성이 자유로워 스마트폰 화면으로 읽기 쉽고 다른 언어로 번역하기도 쉽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분석했다.
가로로 한페이지씩 스크롤하는 일본 웹툰은 화면구획이 많아 스마트폰에서는 읽기 어렵다. 반면 한국의 풀컬러, 세로읽기형 웹툰은 화면구성이 자유로워 스마트폰 화면으로 읽기 쉽고 다른 언어로 번역하기도 쉽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분석했다.
네이버가 2000년대 개발해 2010년대 중반부터 보급한 풀 컬러, 세로읽기 방식의 웹툰 시스템은 세계 웹툰의 표준이 됐다. 화면구성이 자유로워 스마트폰 화면으로 읽기 쉽고 다른 언어로 번역하기도 쉽다. 반면 가로로 한페이지씩 스크롤하는 일본 웹툰은 화면구획이 많아 스마트폰에서는 읽기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

네이버는 유튜브와 같이 취미로 만화를 그리는 아마추어 작가들도 자유롭게 작품을 게시할 수 있다. 이 가운데 인기 만화가 2300명을 '프로'로 인정해 열람수에 따라 수익을 나눈다. 프로 만화가의 연평균 수입은 3억원에 달한다. 세계의 젊은 작가가 네이버 플랫폼으로 모여드는 이유다.

인기 콘텐츠가 모이면서 자연스럽게 이용자도 늘어났다. 지난 3년간 네이버와 카카오 콘텐츠 사업의 매출은 각각 5000억원 수준으로 4배 이상 늘었다.

자국시장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해외 진출에서 활로를 찾은 K-팝과 한류 영화·드라마와 마찬가지로 네이버와 카카오도 일찌감치 세계에 진출해 입지를 다졌다고 소개했다.

반면 일본은 동인지와 단행본 중심의 작품 제작을 고수하면서 디지털 사업 진출이 뒤처졌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일본은 여전히 고단샤, 슈에이샤, 쇼가쿠칸 등 출판사가 육성한 만화가의 작품을 주간지에 게재하고, 인기 작품의 영화 및 애니메이션화, 상품 판매로 수입을 올리는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1억2000만명이 넘는 내수시장 덕분에 일정 수준의 수익을 보장받는데다 해적판 사이트의 문제가 불거지면서해외시장 진출에 소극적이었다는 설명이다.

카카오와 자본제휴 관계를 맺고 있는 가도카와 등 일부 출판사가 웹툰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한국과 같은 세계적인 플랫폼을 만든다는 전략은 찾아보기 어렵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도쿄=정영효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