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특파원 공동취재단이 14일 도쿄도(東京都) 신주쿠(新宿)구 소재 총무성 제2청사 별관에 설치된 '산업유산정보센터'를 방문했다. 이 센터에 소개된 일제 강제노역 현장인 '군함도' 모습. /사진=산업유산정보센터 제공
도쿄특파원 공동취재단이 14일 도쿄도(東京都) 신주쿠(新宿)구 소재 총무성 제2청사 별관에 설치된 '산업유산정보센터'를 방문했다. 이 센터에 소개된 일제 강제노역 현장인 '군함도' 모습. /사진=산업유산정보센터 제공
일본이 군함도(하시마·端島)를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강제징용 희생자를 기리는 조처를 함께하겠다는 약속을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쿄특파원 공동취재단 취재 결과, 오는 15일부터 일반에 공개되는 일본의 '산업유산정보센터'의 전시 내용에는 메이지 시대 철강과 석탄 등의 분야에서 이룬 일본의 산업화 성과를 자화자찬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산업유산정보센터는 일본 정부가 자국의 근대화 시기인 메이지시대 산업 유산을 소개하기 위해 도쿄도 신주쿠구 총무성 제2청사 별관에 설치한 센터다.

심지어 일제 조선인 강제징용 피해 자체를 부정하는 증언과 자료도 전시하고 있었다. 태평양 전쟁 당시 어린 시절을 군함도에서 보낸 재일교포 2세 스즈키 후미오씨의 증언 동영상이 대표적이다. 스즈키 씨는 동영상에서 '괴롭힘을 당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없었다"고 답변했고, '조선인을 채찍을 때렸다는데 사실이냐'는 질문에도 "일을 시켜야 하는데 왜 때리겠느냐. 그런 것 없었다"고 답했다.

스즈키씨는 군함도 탄광촌에서 팀장급 관리자인 '오장'으로 일한 아버지의 경험에 기초해 증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당시 군함도에서 일한 대만 사람이 "급여를 정확히 현금으로 받았다"고 증언하는 내용과 함께 월급봉투도 전시돼 있다.

일제 강점기 메이지 산업유산 중 군함도를 비롯해 야하타 제철소, 나가사키 조선소, 다카시마와 미이케 탄광 등에는 한국인(조선인) 3만3400명이 강제 동원됐다. 특히 군함도에서는 1943∼1945년 500∼800명의 한국인이 강제 노역을 했고, 122명이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미경 한경닷컴 기자 capit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