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도쿄올림픽 연기 결정이 전격적으로 이뤄지면서 성화 봉송을 비롯해 각종 올림픽 관련 이벤트가 일제히 중지됐다. 이미 판매된 올림픽 티켓 관련 뒤처리와 자원봉사자들을 1년간 어떻게 관리할지 등이 일본 정부와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에 숙제로 남았다.

올림픽 연기 결정으로 26일 후쿠시마에서 시작될 예정이던 일본 내 성화 봉송은 전면 취소됐다. 도쿄도는 25일 도청 안에 설치했던 올림픽 개막 카운트다운 보드를 철거했다. 축구와 야구, 소프트볼 경기가 예정돼 있던 요코하마시에서도 올림픽 준비 작업이 모두 중단됐다.

이미 판매된 티켓을 어떻게 처리할지는 조직위의 최대 난제다. 조직위는 일반 판매로 총 448만 장의 티켓을 판매했고, 어린이들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관람 기회를 주기 위한 ‘학교 연계 입장권’을 포함하면 티켓 판매 규모가 508만 장에 이른다. 여기에 패럴림픽 티켓 판매 165만 장을 더하면 티켓 수입만 900억엔(약 1조원)에 달한다.

하지만 도쿄올림픽 입장권 구입·이용 약관에 따르면 개별 경기가 연기될 경우엔 환불 규칙이 있지만 올림픽 자체가 연기나 취소될 경우에 대한 규정은 마련돼 있지 않다. 조직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연기를 불가항력으로 판단해 환불 불가를 결정하면 입장권 구매자와의 마찰을 피할 수 없다. 환불이나 재판매도 손쉬운 일은 아니다. 특히 개회식 A석 티켓은 장당 30만엔(약 331만원), 육상 A석은 13만엔(약 143만원)에 이른다.

7월 올림픽 개막에 맞춰 채용할 예정이던 11만 명 규모 자원봉사자에 대한 지원과 행정처리 문제도 쉽지 않은 과제다. 현재 자원봉사자들이 내년에도 자원봉사를 할 수 있을지 확실치 않고, 유니폼 배포 및 연수 시설 확보 등 작업을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