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세 배가 넘는 과도한 부채가 글로벌 경제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각국이 제로 금리와 양적완화 등 돈을 푸는 정책을 지속한 결과 부채가 더 이상 손을 쓸 수 없는 수준으로 불어났다는 지적이다.

《파생상품》 《익스트림 머니》의 저자로 알려진 금융컨설턴트 사트야지트 다스는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 칼럼에서 “금융위기 이후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 정책 당국자들은 자신의 임기에 채무불이행(디폴트)을 맞지 않으려고 구조조정 대신 돈을 푸는 정직하지 못한 방법으로 부채를 다뤘다”며 “그 대가를 치러야 하는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고 경고했다.

다스는 2006년 저서에서 금융위기를 예측한 것으로 유명하다. 다스에 따르면 전 세계 총부채는 2007년 167조달러에서 10년 만에 247조달러까지 불어났다. 전 세계 GDP의 320% 수준이다.

금융위기에 이어 경기침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가계뿐 아니라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의 빚이 늘었다. 미국 정부 부채는 10년 전 9조달러에서 현재 22조달러까지 급증했다. 비금융 부채도 GDP 대비 비율이 2007년 수준을 넘어 역대 최고치인 2차 세계대전 직후 수준에 근접하고 있다. 중국 기업들의 비금융 부채 역시 2007년 7조달러에서 40조달러까지 치솟았다.

다스는 부채의 질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투자 부적격 등급 바로 위인 BBB 등급 채권이 미국과 유럽 투자등급 채권의 절반을 차지하고, 디폴트 직전의 CCC 등급 채권 비중은 2007년보다 65% 늘었다.

하지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선택지는 마땅치 않다고 봤다. 다스는 “GDP 대비 부채 비율을 낮추려면 빚 규모를 줄이거나 경제를 성장시키거나 통화가치를 절하해 부채 부담을 줄이는 방법이 있지만 모두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했다.

설지연 기자 sj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