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일본은 문재인 대통령의 2차 남북한 정상회담 발표를 예의주시하며 미·북 정상회담 논의 재개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27일 베이징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지도부는 한반도 정세가 다시 요동치자 긴급회의를 통해 대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외교부는 “한반도 문제에서 계속해서 적극적이고 건설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앞서 “북·중 정상회담이 있고 나서 북한 태도가 돌변했다”고 지적한 뒤 중국 역할론이 흔들리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그렇지만 중국 외교 사령탑으로 일컬어지는 왕치산(王岐山) 국가부주석은 러시아에서 열린 국제포럼에서 “한반도 안전은 중국의 핵심 이익과 관련 있다”고 말해 미묘한 파문이 일었다. 홍콩 언론들은 왕 부주석의 발언이 북한 비핵화 과정에서 ‘차이나 패싱’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했다.

중국의 한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미·북 회담 취소 서한을 보낸 것에 대해 사전 통지를 받지 못했고 문 대통령과 김정은의 2차 판문점 회동도 사전에 충분히 통지받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그는 “미국과 대등한 한반도 협상 주도권을 갖게 됐다고 생각한 중국으로서는 당혹스러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외교채널을 동원해 북한 비핵화와 관련한 남북 정상 간 구체적인 논의 내용을 파악하는 등 정보 수집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을 보였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다음달 8~9일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앞서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다시 정상회담을 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도쿄=김동욱/베이징=강동균 특파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