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냉키 쇼크' 진화 나선 Fed 총재들 "출구전략, 경제지표에 달려"
"시장 안정 찾아가는 중"
미국 중앙은행(Fed) 산하 연방은행 총재들이 출구전략 예고에 따른 금융시장의 동요를 막기 위해 진화에 나섰다.
윌리엄 더들리 뉴욕 연방은행 총재는 27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벤 버냉키 Fed 의장이 제시한 양적완화의 출구전략 시간표와 관련, “달력이 아니라 경제 상황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버냉키 의장이 ‘올 하반기 채권매입규모 축소, 내년 중반 완전 중단’이라는 시간표를 제시했지만 이 일정보다 경제 회복 여부가 더 중요하다는 의미다. 그는 “경제와 고용 상황이 Fed의 예상대로 회복되지 않을 경우 채권매입 프로그램(양적완화)이 더 오랫동안 강하게 지속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더들리 총재는 Fed의 통화정책 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당연직 멤버이며 버냉키 의장과 가까운 Fed 내 실세로 통한다. 더들리 총재는 투자자들이 양적완화 중단만큼이나 우려하는 기준금리 인상에 대해 “단기금리 인상은 아주 먼 이야기”라고 못 박았다.
제롬 파월 Fed 이사는 이날 초당파정책센터 강연에서 “경제회복세가 지속되면 올 연말에 채권매입 규모를 축소할 수 있다”면서도 “그러나 자산매입 축소 여부는 경제지표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 연방은행 총재도 이날 한 강연에서 “금융시장이 버냉키 의장의 발언에 과민반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Fed 관리들의 이 같은 발언과 호전된 경제지표에 힘입어 뉴욕 증시는 사흘째 상승했다. 지난주 연 2.6%까지 치솟았던 10년 만기 국채수익률도 이날 연 2.4%대로 떨어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Fed 관리들이 급격한 출구전략은 없을 것이란 점을 분명히 하면서 시장이 안정을 찾아가는 양상”이라고 분석했다.
워싱턴=장진모 특파원 jang@hankyung.com
윌리엄 더들리 뉴욕 연방은행 총재는 27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벤 버냉키 Fed 의장이 제시한 양적완화의 출구전략 시간표와 관련, “달력이 아니라 경제 상황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버냉키 의장이 ‘올 하반기 채권매입규모 축소, 내년 중반 완전 중단’이라는 시간표를 제시했지만 이 일정보다 경제 회복 여부가 더 중요하다는 의미다. 그는 “경제와 고용 상황이 Fed의 예상대로 회복되지 않을 경우 채권매입 프로그램(양적완화)이 더 오랫동안 강하게 지속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더들리 총재는 Fed의 통화정책 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당연직 멤버이며 버냉키 의장과 가까운 Fed 내 실세로 통한다. 더들리 총재는 투자자들이 양적완화 중단만큼이나 우려하는 기준금리 인상에 대해 “단기금리 인상은 아주 먼 이야기”라고 못 박았다.
제롬 파월 Fed 이사는 이날 초당파정책센터 강연에서 “경제회복세가 지속되면 올 연말에 채권매입 규모를 축소할 수 있다”면서도 “그러나 자산매입 축소 여부는 경제지표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 연방은행 총재도 이날 한 강연에서 “금융시장이 버냉키 의장의 발언에 과민반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Fed 관리들의 이 같은 발언과 호전된 경제지표에 힘입어 뉴욕 증시는 사흘째 상승했다. 지난주 연 2.6%까지 치솟았던 10년 만기 국채수익률도 이날 연 2.4%대로 떨어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Fed 관리들이 급격한 출구전략은 없을 것이란 점을 분명히 하면서 시장이 안정을 찾아가는 양상”이라고 분석했다.
워싱턴=장진모 특파원 jang@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