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뉴욕과 워싱턴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한 사상 초유의 테러 공격에 대한 미국의 반격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전쟁 불사 의지가 결연하고 국민이 압도적 지지를 보내고 있으며 의회는 아예 대통령의 선전 포고를 미리 승인해 줄 움직임이다. 밖으로는 한국, 일본, 영국 등 전통적인 우방은 물론 러시아, 중국에 심지어 북한과 리비아까지 테러 규탄 대열에 합류, 국제 사회의 명분까지 확보함으로써 전쟁을 일으킬 여건은 완벽하게 갖춰졌다는 게 워싱턴 군사전략가들의 분석이다. 익명을 요구한 정통한 군사소식통은 "이제는 연방수사국(FBI)의 수사 마무리와뒤이은 결행의 시기, 즉 D-데이 택일만 남은 셈"이라고 말하고 "미국의 공격은 매우임박했으며 주말을 전후에 감행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현재 가장 유력한 공격 목표는 사우디아라비아 출신의 갑부 테러리스트 오사마빈 라덴과 그의 후견인격인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 정권으로 콜린 파월 미국 국무장관은 13일 처음으로 빈 라덴을 테러의 배후로 공개적으로 지목했다. 다른 군사전문가는 "이번에는 공중 폭격에만 의존했던 코소보전과 달리 실병력을 투입할 공산이 매우 높다는 게 특징"이라고 말해 미국이 염두에 두고 있는 `응징의 강도'가 어느 정도인가를 쉽게 짐작케 하고 있다. 이 전문가는 "그동안 미국이 세계의 경찰로 수많은 분쟁에 개입했지만 `미사일,함포 등 최첨단 정밀 유도 무기에 의존하고 공격자 피해는 최소화한다'는 게 철칙이었다"고 말하고 "그러나 이번에는 인명 피해도 감수한다는 게 미국의 방침으로 중동과 유럽 주둔군을 동원하고 본토에서도 정예 공수부대를 투입할 것"으로 내다봤다. 테러 사건 발생 당시 플로리다주에 머물고 있던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즉각 `국가 재난'으로 선포한 뒤 12일 `전쟁 행위'로 규정했으며 13일에는 `21세기의첫 전쟁'이라고 다시 한 번 못박는 등 발언의 수위를 계속 높여 나갔다. 부시 대통령의 발언은 이번 테러가 범죄 당국이 수사해서 처벌하는 `범죄 행위'정도가 아니며 군사적으로 철저히 응징하겠다는 사실상 `선전 포고'에 다름 아니다.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은 12일 `사전 경고 없이' 테러범들을 응징할 것이라고 한 술 더 뜨고 전세계에 배치된 미군에게 "앞으로 며칠 안에 여러분도 영웅의 반열에 오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 전쟁이 초읽기에 들어갔음을 강력히 시사했다. 의회에서도 여야를 가릴 것 없이 군사적 응징을 한 목소리로 외치고 있으며 야당인 민주당의 리처드 게파트 하원 원내총무 등은 미리 부시 대통령에게 선전 포고를 승인해 주자는 주장까지 내놓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 대통령은 외국에 선전포고할 경우 90일 이내에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빌 클린턴 전 대통령도 코소보전 당시 의회 승인 없이 선전포고부터 먼저 했다. 의회의 이러한 움직임은 외환을 맞아 부시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 주자는 취지로부시 대통령의 테러 대응책과 전쟁 돌입에 대한 국민의 지지율이 90%에 육박하고 있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가 창설 이후 처음으로 `회원국의 안보가 위협받을 경우공동으로 대처한다'는 규정을 적용, 미국의 테러 응징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밝힌 것도 부시 대통령에게는 큰 힘이 되고 있다. 아울러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과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 모두 미국 지지를 밝혔고 야세르 아라파트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은 물론 미국이 테러 국가로지목하고 있는 모하마드 하타미 이란 대통령,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까지도 테러 규탄 대열에 합류했다. 파키스탄은 영공 제공 의사까지 밝히며 `무제한의 협력'을 다짐했으므로 미국에대한 지지를 밝히지 않은 국가는 이라크와 빈 라덴이 은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아프가니스탄이 고작이다. 일각에서는 미국의 힘에 의한 평화를 가리키는 이른바 `팩스 아메리카나'를 이번 사고의 원인 가운데 하나로 꼽고 있으나 미국이 국제 사회의 지지를 지금처럼 폭넓게 받은 적은 일찍이 없었다는 게 워싱턴 정치.외교 분석가들의 지적이다. (워싱턴=연합뉴스) 이도선 특파원 yd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