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의 영향으로 중국 펀드·상장지수펀드(ETF)의 수익률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중국 펀드를 사들이는 국내 투자자 역시 늘고 있다.
○수익률 높아진 中펀드·ETF
30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27일까지 국내 중국펀드 181종의 평균 수익률은 9.61%로 집계됐다. 에프앤가이드가 분류한 지역별 펀드 가운데 평균 수익률 1위였다. 2위는 베트남 펀드(8.35%), 3위는 중남미 펀드(7.86%)였다.
국내 중국 펀드 가운데 수익률이 가장 높은 종목은 ‘미래에셋차이나H레버리지2.0’으로 22.9%를 기록했다. 이어 ‘KODEX 차이나H레버리지 ETF’(19.3%) ‘미래에셋차이나H레버리지1.5’(17.4%) ‘KOSEF 차이나A50커넥트레버리지MSCI ETF’(16.9%) 순이었다.
레버리지 종목이 아닌 ‘우리템플턴차이나드래곤’ ‘KBSTAR중국MSCI China’ ‘KODEX차이나심천ChiNext’ 등의 상품도 10% 이상의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
수익률이 개선되면서 국내 투자자들의 돈도 중국 펀드로 향하고 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달 들어 27일까지 중국 펀드로 유입된 자금은 828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북미지역 펀드 유입금액(262억원)의 세 배가 넘는 규모다.
전문가들은 리오프닝과 중국 춘제를 맞아 개선된 소비심리가 연초 중국 증시 강세를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최설화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이달 상하이종합지수가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10.5배로 여전히 지난 5년 평균(11.3배)보다 낮아 저가 매력이 남아 있다”고 했다.
○빠져나가던 중학개미도 ‘컴백’
중국 증시에 직접 투자하는 ‘중학개미’도 다시 나타나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들은 이달 들어 27일까지 중국·홍콩 증시에서 7226만달러어치의 주식을 순매수했다. 중학개미들은 지난해 8월 이후 중국·홍콩 증시에서 매도 우위를 유지해왔다. 작년 8월부터 12월까지 4억4041만달러어치의 주식을 순매도했다.
중학개미가 가장 많이 산 본토 종목은 대표적 리오프닝주로 꼽히는 주류업체 구이저우마오타이주(1580만달러)였다. 홍콩 증시에서도 음식 배달 플랫폼 업체인 메이퇀(601만달러), ‘글로벌X 차이나 소비재 브랜드 ETF’(526만달러) 등 리오프닝 수혜 종목을 주로 담았다.
김경환 하나증권 연구원은 “다음달이 되면 중국 증시는 실적 공백기에 들어서면서 부양책과 유동성 대책에 따른 기대가 극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봉쇄 기간 발생한 규제 충격을 만회하는 친시장 정책을 펼칠지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대만 문제는 중·미 관계의 레드라인이다. 미국은 이 레드라인을 넘으려 해서는 안 된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의 중국 방문을 앞두고 중국 외교부가 이같이 경고했다.30일(현지시간)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대만 문제는 중국의 핵심 이익이고, 중·미 관계의 정치적 토대이며 극복할 수 없는 레드라인"이라고 했다. 이어 "건전하고 안정적인 중·미 관계는 양국 인민의 이익과 세계의 미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미국이 중국과 대결보다는 대화의 기조를 견지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마오 대변인은 "중국은 시진핑 국가주석이 제안한 상호존중, 평화공존, 협력의 3원칙에 따라 중·미관계를 발전시켜 왔지만 동시에 확고부동하게 주권, 안보, 발전이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이같은 발언은 블링컨 장관의 방중을 앞두고 나온 것이어서 관심이 집중된다. 블링컨 장관은 내달 5일 중국을 방문한다. 우크라이나 전쟁, 마약대응 협력, 중국의 핵무기, 중국에 억류된 미국 시민 문제 등 양국간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다.마오 대변인은 최근 일본과 네덜란드가 대(對)중 반도체 제재에 동참하기로 한 것에 대해서도 "관련 동향을 긴밀히 주시하고, 정당한 권익을 수호할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다.블룸버그 통신은 지난 27일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일본·네덜란드 당국자들과 논의한 끝에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에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네덜란드의 반도체 장비업체 ASML과 일본의 도쿄일렉트론 등이 미국이 지난해 10월 발표한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에 참여한다.전설리 기자 sljun@hankyung.com
중국의 한 유명 인플루언서가 멸종위기에 처한 상어를 이른바 '먹방(먹는 방송)'에 이용해 2000만원이 넘는 벌금을 물게 됐다.30일(현지시간) 중국 관영통신 신화사 등에 따르면 쓰촨성 난충시 시장감독관리국은 국가보호 야생동물을 불법 구입해 먹은 혐의를 받는 유명 인플루언서 A씨에게 벌금 12만5000위안(약 2200만원)을 부과했다.앞서 A씨는 지난해 4월 인터넷에서 7700위안(약 140만원)을 주고 상어를 구매했다. 이후 지난해 7월 상어를 요리해 먹는 영상을 구독자 100만명이 넘는 본인의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 계정에 공개했다.영상에는 A씨가 직접 2m에 달하는 상어를 잘라 숯불에 굽고 양념해 먹는 모습이 담겼다. 공개된 영상에서 A씨는 "잔인해 보일지 모르겠지만 (백상아리) 고기가 정말 부드럽고 맛있다"며 시식 후기를 남기기도 했다.영상이 공개된 뒤 현지 네티즌들은 A씨에게 비난을 쏟아냈다. 백상아리가 중국에서 양식되는 해양생물이 아닌데다, 국가 보호 2급으로 지정된 보호종이라는 이유에서다.이후 당국이 한 네티즌의 신고를 받고 상어의 DNA를 조사한 결과 A씨가 먹방에 이용한 상어는 국가 중점 보호 야생동물 2급에 해당하는 백상아리로 확인됐다.신화사에 따르면 현재 백상아리를 포획한 자와 유통한 상인 모두 체포돼 조사받고 있다.한편, 중국 당국은 지난 4일 야생동물보호법 개정안을 통과시킨 바 있으며 해당 법안은 오는 5월 1일 발효된다. 개정안은 야생동물의 소비·사냥·운송·판매 등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
올 들어 외국인과 기관투자가들이 화학 관련주를 사들이고 있다. 중국이 본격적으로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나서면서 화학 제품 수요가 회복될 것이란 기대가 커지면서다.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기관은 올 들어 효성티앤씨와 금호석유 주식을 각각 361억원, 262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외국인은 LG화학을 2147억원어치 사들였다.이날 효성티앤씨는 0.77% 오른 39만4000원에 마감했다. 지난해 11월 초 저점 대비 50% 가까이 뛰었다. 같은 기간 금호석유, LG화학, 대한유화 등도 30% 가까이 올랐다.증권업계 관계자는 “의류, 전자제품, 식료품 등 대부분의 소비재에 화학 원료나 포장이 들어가기 때문에 중국 소비가 살아날 경우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노무라증권은 중국 가계의 ‘초과 저축’ 규모가 7200억달러(약 891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향후 중국인들의 소비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하나증권은 LG화학, 금호석유, KCC, 효성티앤씨를 최선호주로 제시했다. LG화학은 2차전지 소재 외에 플라스틱, 비닐, 섬유 등을 생산하는 종합화학 회사다. 금호석유는 자동차 타이어용 합성 고무와 가전제품에 들어가는 합성수지를 주로 만든다.효성티앤씨는 스판덱스 세계 1위 업체다. 탄성이 있는 섬유에는 대부분 스판덱스가 들어간다. 중국은 세계 의류 소비의 70%를 차지하고 있어 수혜가 예상된다. 증권사 평균 목표주가가 작년 12월 말 36만9000원에서 지난 27일 45만5500원까지 상승했다.자산운용사 관계자는 “화장품, 전자제품, 의류 등의 재고가 소진되는 하반기부터 화학 제품 수요가 급증하면서 실적 회복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