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확대 추세 'ESG 투자' 정부가 제도 뒷받침해야"

세계적으로 확대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 흐름을 따라잡으려면 정부의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신용평가는 11일 발표한 'ESG 채권시장의 성장과 외부평가제도 도입의 필요성' 보고서에서 "한국의 ESG 투자는 최근 급속히 늘어나고 있으나, 해외 주요 국가들보다 상대적으로 발행 규모도 미미하고 발행 주체나 종류도 편중돼 있는 등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며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신평에 따르면 2018년 말 기준 국내 3대 공적 연금·기금의 ESG 관련 투자는 약 27조원 수준으로 파악되며, 이 가운데 국민연금 비중이 약 99%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국민연금의 ESG 투자 규모는 2018년 말 현재 26조7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288.7% 늘었으며 사학연금과 공무원연금도 각각 30.3%, 38.3% 증가했다.

그러나 3대 공적 연금·기금의 운용 규모가 2015년 530조원에서 2018년 663조원으로 대폭 증가했음에도 2018년 기준 전체 운용자산 중 ESG 관련 비중은 4.1%로 낮은 수준이다.

한신평은 "해외 주요 국가의 ESG 투자 비중은 18%(일본)~63%(호주·뉴질랜드) 수준이며, 일본의 경우 최근 들어 급등세를 보여 지난해에는 약 30%에 육박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국내 ESG 채권 발행은 해외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달러화 채권으로 시작돼 2013년 2월 수출입은행이 아시아 금융기관 최초로 ESG 채권을 발행했고 2018년에는 한국수출입은행, 한국수자원공사가 각각 아시아 최초로 그린본드 및 워터본드를 발행하는 등 상징적인 발행이 다수 이뤄졌다.

그러나 민간기업의 ESG 채권은 2016년 3월에야 현대캐피탈이 처음으로 발행하는 등 해외 주요 국가들보다 상대적으로 상당히 뒤처져 있다고 한신평은 지적했다.

국내 ESG 원화 채권의 경우에는 2018년 5월 KDB산업은행이 처음 발행한 이후 발행이 많이 늘어나면서 지난해에는 국내 ESG 원화 채권 발행 규모가 29조2천억원에 달했다.

한신평은 아직 민간기업들의 책임투자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은 수준이라면서 ESG 투자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가 제도적 측면에서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하며 인센티브 제도 도입, 기업의 ESG 관련 공시 의무 강화 등 구체적인 제도적 뒷받침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