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파생결합증권(ELS·DLS) 발행 규모가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H지수 발행감축 자율규제 종료와 저금리 지속에 따른 투자 수요 확대가 배경이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이 역대 최대인 115조9000억원을 기록해 전년보다 4조3000억원(3.9%) 늘었다고 11일 밝혔다. 상환액이 전년 대비 30조9000억원(25.1%) 감소하면서 작년 말 기준 발행잔액도 11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ELS와 DLS 중에서는 ELS 발행액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ELS 발행액은 전년 대비 5조6000억원(6.9%) 증가한 86조7000억원으로 집계돼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7년 말 H지수 발행 감축 자율규제 종료와 국내 저금리 지속, 주식시장 부진, 2015년 발행된 ELS의 이익 상환 등으로 투자수요가 확대됐다는 분석이다.

지수형 ELS 발행 비중이 90.2%로 ELS 발행액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기초자산이 3개 이상인 상품의 발행비중은 전년(51.7%)보다 19.6%포인트 증가한 71.3%로 집계됐다. 기초자산별 발행규모는 EuroStoxx50 (58.0조원), H지수(49.9조원), S&P500(40.2조원), KOSPI200(35.1조원) 순으로 높았다.

낙인(Knock-In) 옵션 포함 ELS 상품 발행 비중은 35.8%로 전년(37.5%)보다 소폭 줄었다.
그러나 저낙인형 상품 발행 비중이 전년 대비 12.9%포인트 감소하는 등 낙인 기준이 높아짐에 따라 투자자 손실 가능성은 더욱 커졌다는 분석이다.

ELS 발행 경로는 은행신탁(46조3000억원)이 가장 많았고 일반공모(21조9000억원), 자산운용(7조500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은행신탁을 통한 개인투자자에 대한 판매 경향이 더욱 확대됐다는 판단이다.

지난해 ELS 상환액은 67조4000억원에 그쳤다. 전년 대비 27조7000억원(29.1%) 감소한 수치다. 작년 주요 지수 하락으로 조기 상환규모가 전년보다 38.9% 줄어든 영향이다. 상환액은 줄어들면서 작년 말 기준 ELS 잔액은 전년 대비 32.1% 늘어난 72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파생결합증권 발행 규모 '역대 최대'…ELS 86.7조원
작년 DLS 발행액은 전년 대비 1조3000억원 감소한 29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원금보장형 DLS 발행액은 전체 발행액 감소에도 불구하고 7000억원 증가했다. 기초자산별로는 CD금리 등 금리 기초 DLS의 비중(43.8%)이 가장 높고 신용(26.0%), 원자재(2.8%) 순으로 나타났다.

작년 DLS 상환액은 24조6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조2000억원(11.5%) 줄었으며 만기상환액이 15조1000억원으로 조기상환액(9조5000억원)을 웃돌았다. DLS의 경우, 기초자산의 변동성은 낮은 편이고 대부분 사모로 발행돼 만기 이전 조기상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가 적다.

상환액이 줄면서 작년 말 기준 DLS 발행잔액은 38조9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조1000억원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원금보장형 DLS 잔액 비중이 전년보다 6.2%포인트 늘었고 공모발행 잔액 비중도 1.9%포인트 증가했다.

작년 말 기준 파생결합증권 발행잔액에 대한 자체헤지와 백투백헤지의 비중은 각각 51.6%, 48.4%로 전년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투백헤지 거래 상대방은 외국계 금융회사가 78.4%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발행자금 운용자산 평가금액은 113조2000억원으로 집계됐으며 이 중 채권이 81조70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예금·예치금 22조4000억원, 기타자산 12조2000억원 순이었다.
지난해 파생결합증권 발행 규모 '역대 최대'…ELS 86.7조원
작년 파생결합증권 투자자의 투자이익은 2조3000억원으로 전년 4조8000억원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작년 하반기 주요 지수 하락에 따른 조기 상환 지연 등으로 상환 규모가 축소된 탓이다.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발행 및 운용이익은 전년보다 0.3% 감소한 7172억원으로 집계됐다. 헤지 운용이익이 큰 폭으로 줄었으나 상환해야 할 파생결합증권의 평가금액(부채) 역시 줄어들면서 운용 손익 변동이 미미했다는 분석이다.

이동춘 금융감독원 자본시장감독국 팀장은 "편입하는 기초자산 개수의 증가하고 낙인 기준이 높아진 상황에서 조기상환 구조도 복잡해지고 있어 투자자들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소은 한경닷컴 기자 luckyss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