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과열종목 지정 절차 3단계→2단계로 축소
거래소 '품절주' 투기 차단 대책 마련

앞으로 주식시장에서 감자 등으로 유통주식 수가 10만주 미만으로 줄어드는 등 유통물량이 현저히 적은 종목은 매매거래가 정지된다.

단기 이상급등 종목에 대한 경고 등 사전 예방 조치도 강화된다.

한국거래소는 22일 유통주식 수 부족 종목의 이상급등을 막기 위해 이런 내용을 담은 시장관리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이상급등세로 시장을 교란시킨 코데즈컴바인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한 조치다.

코데즈컴바인은 별다른 호재 없이 지난 3일부터 8거래일(매매 정지된 10일 제외)간 551% 급등했다.

실제 유통되는 주식이 상장 주식의 0.6%인 25만 주에 불과한 탓에 적은 수량의 매수 주문에도 가격 변동성이 심해졌다.

거래소는 먼저 대규모 감자 등에 따른 주식 수 감소로 유통가능 주식 물량이 총발행주식 대비 일정 수준에 미달하거나 현저히 적을 경우 변경상장시 매매거래정지 근거를 명시하고 기준을 충족할 경우 거래를 재개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최소 유통주식비율이 총발행주식 수의 2% 미만이거나 유통주식 수가 10만주 미만인 코스닥 종목의 경우 매매거래가 정지된다.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종목은 유통주식 물량이 각각 1%, 10만주 미만일 경우 이에 해당된다.

최소 유통주식비율이 총발행주식 수의 5%(코스피 3%)를 넘거나 최소 유통주식 수가 30만주(코스피·코스닥 동일)를 넘으면 매매거래정지가 해제된다.

코데즈컴바인은 유통주식비율 2% 미만에 해당되지만 작년 말 변경상장됐기 때문에 이번 대책이 소급 적용되지 않는다.

거래소는 이와 함께 코데즈컴바인처럼 회생절차에 따른 감자 등으로 장기 거래정지된 종목의 거래가 재개될 때 해당 종목의 유통주식 수 등에 대한 투자참고 정보를 별도로 제공하기로 했다.

아울러 과도하게 주가가 급등할 경우 첫 조회공시 요구 이후 15일 이내라도 주가급등 지속에 대한 조회공시 요구가 가능하도록 요건을 개선하기로 했다.

유통주식 수가 적은 관리종목이나 투자주의 환기종목의 주가 이상급등에 신속히 대응하고자 단기과열종목 지정 제도도 개선할 방침이다.

현재는 주가상승률, 거래회전율, 주가변동성 등 3개 요건을 동시에 충족해야 하지만 앞으로는 1개 이상을 충족할 경우 단기과열종목에 지정된다.

단기과열종목 지정 절차 역시 현행 3단계(최초 적출→지정예고→지정)에서 최초 적출(지정예고)→지정 등 2단계로 축소하고, 지정 이후 단일가 매매기간을 종전 3일에서 10일로 늘리기로 했다.

거래소는 이와 함께 순차적인 고가 매수 반복 행위, 허수, 예상가 관여 등 불건전 매매 양태를 보이는 경우 예방조치를 강화하기로 했다.

현재는 투자경고 종목 지정 이후 5일 이내 60% 상승해야 투자위험 종목으로 지정되지만 앞으로는 3일 이내 일정 비율 상승시 지정할 방침이다.

이밖에 급등세가 지속되는 종목에 대해서는 즉시 비상감시대책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해당 종목의 급등 배경과 이상징후 등이 담긴 긴급 투자유의안내(Investor Alert)를 발동할 계획이다.

주가 급등 이슈로 주목받는 종목에 대해선 긴급 심리와 실지(현장) 감리를 동시에 실시한다.

심리 종료 전이라도 투자자 피해가 크고 사회적 이슈가 부각될 경우 금융위 등과 협의해 패스트 트랙(Fast Track)으로 처리할 방침이다.

특정 회원의 규정 위반 여부 등을 점검하기 위해 감리요원이 직접 영업점을 방문해 실태를 점검하는 방안도 대책에 포함됐다.

김재준 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장은 "투기적 매매 사전 예방을 통한 시장의 건전성 제고 및 투자자 보호를 위해 실행 가능한 방안부터 조속히 시행하겠다"며 "시스템 개선을 수반하는 제도 개선은 4월 첫째 주부터 시행하고 세칙이나 지침 개정 사항은 바로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거래소는 그러나 코데즈컴바인 주가 급등에 따른 착시 효과로 불거진 지수 산출 방식 문제에 대해서는 현행 방식을 유지하기로 했다.

라성채 정보사업부장은 "해외 사례를 조사해 개선책을 내부적으로 검토했으나 일부 비정상적인 종목을 제외해 종합주가지수를 산출하는 사례가 없는 데다가 현행 방식을 변경할 경우 지수의 지속성과 신뢰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임수정 기자 hanajj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