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국투신 및 대한투신에 5조원 안팎의 공적자금을 추가 투입키로 한 것은 붕괴직전의 자본시장을 살리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

거대한 부실덩어리인 두 투신사를 방치할 경우 투자자들의 불신이 극에 달해 증시붕락을 부채질할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증시가 붕괴되면 기업및 금융구조조정 등 정부의 경제개혁작업도 차질을 빚을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정부는 공공자금 3조원이 투입된지 불과 3개월만에 다시 공적자금을 투입한다는 비난을 무릅쓰면서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두 투신사에 공적자금을 투입키로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 공적자금 추가투입 배경 =최근 증시는 붕락일보직전이다.

핵심은 역시 투신사다.

투신사는 증시의 최대 "큰 손"이다.

그러나 지금은 거꾸로 주가의 발목을 잡는 "미운 오리새끼"로 전락했다.

어찌된 일인지 틈이 날때마다 주식을 팔아 치운다.

따지고 보면 투신사도 어쩔수 없다.

작년 대우사태이후 투신사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신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현대투신운용사태에서 나타났듯이 밥먹듯 하는 신탁재산의 편출입,평균 손실 10%가 넘는 수익증권 수익률, 끝없이 터져 나오는 산더미같은 부실채권 등.

상황이 이렇다보니 대우사태가 터진 작년 7월이후 무려 90조원이 빠져 나갔다.

올들어서도 하이일드펀드와 CBO(후순위담보채펀드)펀드를 제외한 순수 주식형펀드만 4조7천억여원 줄었다.

이런 악순환의 핵심이 바로 한국투신과 대한투신이다.

두 투신사의 부실을 방치해 놓고서는 증시에서의 투신사 기능을 회복하기를 기대하기는 요원한 상태다.

정부도 이런 점을 인식, 비난을 무릅쓰면서 공적자금 추가투입을 발표한 것으로 풀이된다.

<> 한투및 대투의 앞날 =한국투신과 대한투신은 작년말 각각 2조원과 1조원의 공공자금을 투입받았다.

그러나 지금은 한 푼도 남아 있지 않다.

무보증대우채를 매각한 손실만 한국투신 1조6천억원, 대한투신 7천6백억원에 달한다.

여기에 신탁재산에 들어 있던 비대우 부실채권을 고유계정으로 넘기면서 각각 3조5천억원과 2조원의 부실이 추가로 발생했다.

이를 감안할 경우 지난 사업연도 두 투신사의 당기순손실은 한국투신 3조5천억여원, 대한투신 1조9천억여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번에 투입될 공적자금 5조원은 자본잠식을 메우기 위해 전액 사용될 전망이다.

금액은 한국투신 3조원, 대한투신 2조원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상반기중 두 투신사의 운용사를 분리한뒤 판매사(증권사)에 공적자금을 투입한다는 수순을 세우고 있다.

이 과정에서 두 투신 판매사간 합병도 완전히 배제할수 없을 전망이다.

<> 투신사에 대한 신뢰회복 여부 =두 투신사에 5조원이 투입되더라도 투자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기엔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투신업계가 갖고 있는 잠재적 부실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당장 2조4천억원에 달하는 대우그룹의 담보CP(기업어음), 보증 대우채(9조4천억원) 등에 대한 해결책이 만들어지지 않았다.

대한투신과 서울투신이 대우그룹에 빌려준 2조원의 브릿지콜도 책임소재가 요원하다.

더욱이 오는 7월부터는 채권싯가평가가 실시된다.

펀드에 따라선 수익률이 급락할 수 있다.

이에 실망한 투자자들은 "투신엑소더스"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또하나의 공룡부실인 현대투신도 문제다.

현대투신은 한남투신을 인수하면서 2조여원의 연계콜을 떠안았다.

이를 해소하려면 돈이 필요하다.

하영춘 기자 hayoung@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