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국내 인구 이동자 수가 48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매매량이 전년 대비 반토막날 정도의 주택 시장 침체와 고령화에 따른 이동수요 감소 등이 맞물린 결과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국내 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이동자 수는 615만2000명을 기록해 1년 전보다 14.7%(106만1000명) 감소했다. 전입신고 중 읍면동 경계를 넘어 거주지를 이동한 사람이 대상이다.

지난해 국내 이동자수는 1974년(530만명)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지난해 한국의 인구가 5162만명으로, 1974년(3469만명)보다 1700만명이 많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수치다.
48년 만에 국내인구이동 최저치…1년 만에 100만명↓
인구 100만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 이동률 역시 지난해 12%로 1972년(11.0%)이후 5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감소폭도 1976년(-223만8000명), 1979년(-108만6000명)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컸다.

통계청은 부동산 시장 침체를 국내 이동 감소의 가장 큰 원인으로 봤다. 조사 결과 주택 때문에 이동한 사람은 2021년 271만4000명에서 작년 211만6000명으로 59만8000명 감소했다. 전입 이유로 주택을 든 이동자의 비중도 34.4%로 1년 전(37.6%)보다 3.2%포인트나 줄었다.

실제 국토교통부 '주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주택 매매 거래량은 48만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1% 줄었다. 노형준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고령화와 교통·통신의 발달로 장기적으로 국내 인구이동은 감소 추세"라며 "지난해는 주택 매매량이 절반 이상 줄어드는 등 주택시장 전반이 침체해 인구 이동도 많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48년 만에 국내인구이동 최저치…1년 만에 100만명↓
영·호남에서 수도·중부권으로의 인구 이동 추세는 계속됐다. 2017년부터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은 추세를 유지하는 수도권(서울·인천·경기)에는 지난해에도 3만7000명이 순유입됐다. 대전·강원·충청·세종 등 중부권에도 3만4000명이 새로 유입됐다. 반면 영남에선 6만1000명이, 호남에선 1만3000명이 순유출됐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