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고물가·고금리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제네시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 ‘비싼 차’ 판매가 크게 늘어난 덕을 봤다.
현대차는 작년 매출 142조5275억원, 영업이익 9조8198억원을 기록했다고 26일 발표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21.2%, 영업이익은 47.0% 급증하며 각각 2010년 새 회계기준(IFRS) 도입 이후 최대 실적을 거뒀다.
글로벌 판매량이 394만2925대로 전년 대비 1.3% 늘어난 가운데 고급 브랜드인 제네시스와 투싼 등 상대적으로 비싼 SUV가 많이 팔리며 일등공신 역할을 했다. 전체 판매에서 제네시스와 SUV가 차지하는 비중은 총 56.8%로 전년 대비 4.4%포인트 증가했다. 전기차 등 친환경차 판매는 50만5000대로 전년보다 19.7% 늘었다. 여기에 환율 효과(3조7050억원)까지 더해졌다.
현대차는 올해 판매 목표를 작년보다 9.6% 늘린 432만1000대로 잡았다. 아이오닉 6 등 새 전기차를 내세워 미국과 유럽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계획이다. 올해 예상 매출은 작년보다 최대 11.5% 늘어난 158조9000억원, 영업이익률은 지난해(6.9%) 대비 최대 0.6%포인트 증가한 7.5%로 제시했다. 미국 조지아 전기차 공장 건설 본격화 등을 위해 올해 총 10조5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올해 반도체 공급난 완화에 따라 생산은 늘겠지만 지정학적 갈등, 인플레이션 확대, 금리 인상에 따른 수요 위축 등을 부담 요인으로 꼽았다. 현대차 관계자는 “가동률 상승에 따른 생산 정상화를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를 늘려 수익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주가는 역대 최대 실적에 힘입어 전날 대비 5.55% 오른 17만4900원에 마감했다.
애플 등 글로벌 빅테크들이 기대 이하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했지만 네이버와 카카오 주가는 3일 급등했다. 네이버도 부진한 실적을 내놨지만 ‘네이버판 챗GPT’인 서치GPT를 출시하겠다고 발표한 것이 호재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네이버는 이날 5.67% 상승한 22만3500원에 마감했다. 카카오도 4.19% 오른 6만7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애플과 알파벳이 작년 4분기 실적 발표 이후 시간외 거래에서 각각 3.2%, 4.6% 급락했지만 네이버와 카카오는 오름세를 보였다.네이버와 카카오는 올 들어 각각 25.91%, 26.55% 급등했다. 지난해 내내 주가 조정 원인으로 작용한 글로벌 금리 인상 기조가 올 들어 둔화할 것이란 기대가 커진 것이 호재로 작용한 결과다. 네이버와 카카오 같은 성장주는 금리가 상승하면 할인율이 높아져 주가가 하락 압력을 받고, 반대 상황에선 상승세를 탈 가능성이 커진다.네이버도 이날 부진한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33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감소했다. 그럼에도 주가가 급등한 것은 서치GPT 출시 계획을 내놓은 덕분이라는 분석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이날 “생성형 인공지능(AI) 같은 새로운 검색 트렌드에 대한 대응책을 준비 중”이라며 “올 상반기에 네이버만의 업그레이드된 검색 경험인 서치GPT를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증권업계에선 국내 플랫폼산업을 대표하는 두 종목 주가가 중장기적으로 상승세를 탈 것이란 전망이 많다. 하지만 단기 주가 전망은 엇갈리고 있다.상승론자들은 지난 1일 미국 중앙은행(Fed)이 처음으로 ‘디스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둔화)’을 언급해 올해 금리 인상 속도 둔화 기대가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 추세적 반등을 이어갈 것으로 본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Fed가 연말에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오는 것은 성장주에는 최대 호재”라며 “네이버와 카카오의 웹툰사업부 가치가 주가에 거의 반영되고 있지 않은 점도 주가 하락을 방어할 것”이라고 했다.글로벌 빅테크보다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 높은 점은 단기 상승의 발목을 잡을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각각 28.5배, 50.2배다. 애플, 알파벳, 메타플랫폼스 등은 PER이 18~23배 수준이다.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
미국 시장에서 호실적을 거둔 현대차와 기아 주가가 동반 상승했다.3일 현대차는 1.71% 오른 17만2800원에 마감했다. 기아는 2.15% 상승한 7만1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되살아나고 있는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현대차와 기아가 지난 1월 최다 판매를 기록하면서 주가가 올랐다는 분석이다.미국 신차 판매가 회복세를 보이는 것은 반도체 수급 문제가 해결된 영향으로 풀이된다.1월 미국 자동차 계절조정 연간 판매대수(SAAR)는 1574만 대였다. 2021년 5월 이후 최고치로, 전월 대비 18.26% 늘었다. 1월 전체 자동차 판매 대수는 106만5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다.1월 현대차 미국 판매 대수는 5만6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8.5% 늘었다. 기아 역시 5만2000대를 팔아 22.3% 증가했다. 두 회사 모두 1월 기준으로 미국 시장에서 가장 많은 차를 팔았다. 현대차그룹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10.2%로 전년 동기 대비 0.7%포인트 높아졌다.두 회사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올해도 상승 추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전기차 라인업이 부재한 일본 자동차 회사들의 고전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1월 일본 도요타, 혼다, 닛산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재고 부족과 생산 차질로 인해 26.4%에 머물렀다. 전년 동기 대비 2.7%포인트 하락한 기록이다.이재일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시장에서 강력한 전기차 라인업을 보유한 업체와 그렇지 못한 회사 간 격차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구교범 기자 gugyobeom@hankyung.com
LG유플러스가 작년 매출 13조9060억원, 영업이익 1조813억원을 거뒀다. 연간 영업이익은 처음으로 1조원을 넘겼다.LG유플러스는 작년 매출이 전년 대비 0.4%, 영업이익은 10.4% 늘었다고 3일 밝혔다. 단말기 관련 매출을 제외한 서비스매출은 작년 11조4106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3.1% 증가했다.LG유플러스의 작년 4분기 기준 매출은 3조6106억원이었다. 전년 4분기 매출(3조6114억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1.1% 급증한 2866억원이었다. 여명희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2021년 4분기엔 직원 성과급 등 일회성 인건비가 크게 빠져나간 영향으로 기저효과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LG유플러스는 이날 직원들에게 작년 성과급을 기본급의 250% 수준으로 지급한다고 밝혔다. 전년(450%)의 절반 수준이다.이동통신 부문에선 모바일 매출이 전년 대비 2.1% 늘어난 6조1832억원으로 집계됐다. 기성 이동통신과 알뜰폰 가입자가 늘었고, 5세대(5G) 이동통신 보급률이 늘어난 게 주효했다. 작년 말 기준 LG유플러스 전체 무선 가입자는 1989만6000명으로 10.6% 늘었다. 이 중 5G 가입자는 611만 명으로 32.1% 증가했다. 통상 5G 가입자의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이 이전 세대 통신 이용자에 비해 높다. 알뜰폰 가입자는 36.7% 늘어난 387만3000명이었다.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