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올해 공공부문 청년인턴을 대폭 늘린다. 중앙정부와 공공기관 등에서 작년보다 1만3000명 늘린 3만5000명을 뽑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단순 사무보조와 잡무는 지양하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회의실을 세팅하고, 참석자를 확인하는 내용을 주요 업무로 제시해 논란이 되고 있다.

17일 정부는 국무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청년인턴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국정과제에 최초로 반영된 청년 정책을 구체화하는 일환이다.

올해 공공부문 인턴 채용과 지원 규모는 3만5000명으로 정했다. 중앙정부가 새롭게 2000명을 청년인턴으로 채용하고, 공공기관은 채용 규모를 2000명 늘려 2만1000명을 뽑는다. 인턴형 일경험 사업(7700명), 해외봉사 등 직무경험(4500명) 등도 늘어난다.

중앙정부는 올해 처음으로 청년인턴을 운영하기로 했다. 중앙부처와 청, 위원회 등 45개 기관에서 인턴을 뽑는다. 청년인턴 채용 자격은 청년기본법상 청년(만19세~34세)이며, 기관 자체적으로 직무에 따라 우대요건을 둘 예정이다. 채용 기간은 6개월을 기본으로 하되 대학 재학 등의 사정이 있을 경우 탄력적으로 조정이 가능하다. 고위 공직자의 가족 등은 원천적으로 선발에서 배제된다.

공공기관은 2만1000명 중 1만2000명 이상을 상반기 중 채용할 계획이다. 현재 1~4개월인 인턴 채용 기간을 6개월 이상으로 유도한다.

문제는 이렇게 뽑힌 인턴들이 제대로 된 업무를 경험할 수 있느냐는 점이다. 정부는 이같은 지적을 예상해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인턴의 단순 사무보조나 잡무는 원칙적으로 지양하고, 전공과 관심직종 등을 고려하여 전문분야별 실무경험을 습득할 수 있는 분야에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정작 예시로 든 주요 업무에는 단순 업무가 적지 않게 포함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의 준비 과정 및 행사 준비 과정 경험(참석자 확인, 회의장 세팅 등)' 항목이 대표적이다. 회의실에 물을 갖다놓고, 참석자 명찰을 건네주는 일 정도를 하게한다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외에도 '정책 현장 방문 및 의견수렴 과정 참여' '기관장 등 브리핑 참여·모니터링' '소관 정책 관련 제도 및 연구자료, 해외사례 등 조사·정리' '청년보좌역 업무 및 2030 자문단 운영 지원 등 부처내 청년정책 관련 위원회 운영과 연계하여 부처 청년정책 수립 과정에서 의견제시 등 참여' '정부 주요 정책 관련 토론회, 간담회 참석' 등이 주요 업무로 제시됐다. 이같은 직무 역시 실무경험을 습득하기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선 부처에서도 곤란하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사무관이 하기도 어려운 일을 인턴에게 맡길 수도 없고, 그렇다고 너무 단순한 업무만 맡기면 더 큰 비판이 나올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단순 업무라도 청년들이 분위기를 경험하는 데는 충분하다는 반론도 있다. 정부의 회의에 참석하는 것만으로도 업무 이해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각 기관이 내실있는 인턴제도를 운영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중앙행정기관의 인턴제도 운영 지원을 위해 국무조정실과 인사혁신처 등 관계부처가 운영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체계적 일경험 정책지원·관리를 위해 범정부 협의체를 신설(가칭 일경험 정책협의회)하겠다는 것이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