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농협 하나로마트 서울 양재점을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한우를 시중가 대비 최대 30% 할인해 판매하자 고물가에 부담을 느낀 알뜰쇼핑족이 몰려들어 매장이 혼잡스러웠다.  /김범준  기자
지난 9일 농협 하나로마트 서울 양재점을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한우를 시중가 대비 최대 30% 할인해 판매하자 고물가에 부담을 느낀 알뜰쇼핑족이 몰려들어 매장이 혼잡스러웠다. /김범준 기자
작년 한 해 유통시장은 엔데믹발(發) 소비 폭발이 인플레이션, 자산시장 냉각 등의 악재를 누른 형국이었다. ‘소비가 곧 꺾일 것’이라는 우려가 이어지는 가운데 백화점 세일 행사는 매번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외식·호텔산업 등도 초호황을 누렸다.

경기불황의 전조…버섯이 안 팔린다
하지만 해가 바뀌자마자 유통 현장 곳곳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글로벌 금리 인상 후폭풍이 본격적으로 악영향을 미치면서다.

1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한 대형마트의 버섯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7% 줄어들었다. 다시마 매출은 5%, 파프리카는 6% 감소했다. 신선식품 바이어는 “버섯, 다시마, 파프리카 등은 흔히 ‘구색 식자재’로 불린다”며 “요리할 때 반드시 넣어야 하는 재료가 아니다 보니 경기가 어려워지면 소비자가 가장 먼저 구매 리스트에서 제외하는 품목”이라고 설명했다.

‘불황형 소비’ 패턴은 설 선물세트 판매 데이터에서도 나타난다. 임직원용 선물세트를 대량으로 구매하는 기업은 구성 품목이 비슷하면서도 값은 싼 선물세트를 사는 식으로 씀씀이를 줄여나가고 있다.

증권가에서도 유통업과 소비에 부정적 전망이 많다. 서현정 하나증권 애널리스트는 “올해 유통업황은 다른 어느 때보다 불확실하다”며 “경기 위축과 물가 상승, 이자 부담 증가 등으로 소비심리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했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올해 스타벅스 등 계열사를 제외한 이마트 자체 영업이익률은 1.2%에 그칠 전망이다. 코로나19 창궐 첫해인 2020년(2.1%)의 절반 수준이다.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