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이성용 한국인구학회장이 2일 "향후 10년이 초저출산과 인구고령화로 인해 인구소멸 국가로 가느냐 아니면 그것을 극복해 지식강국으로 가느냐의 갈림길"이라고 밀했다. 지난 15년간 약 280조원을 투입한 저출산고령화 정책에 대해선 "실패한 인구정책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고 했다.

이 학회장은 이날 서울시립대에서 연 인구학회 후기학술대회 개회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인구학회는 '인구학 패러다임의 전환과 재도약: 인구통계와 인구정책'을 주제로 인구통계의 방법론 등을 논의했다.

이 학회장은 현재의 저출산과 고령화 흐름이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라고 봤다. 이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역사상 전혀 경험해보지 못했던 미지의 사회를 겪게 될 것"이라는 게 이 학회장의 생각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와 지난 2~3분기 합계출산율이 0.7명대로 하락한 극심한 초저출산이 미래를 어둡게 할 것이란 진단이다.

특히 이 학회장은 "지나친 경제적 강조가 저출산과 고령화를 가속화했다"고 지적했다. 저출산을 막기 위한 '일·가정 양립정책'과 고령화 대응 차원에서 '노인의 경제적 자립'을 중시한 대책이 의도한 것과 반대의 효과를 냈다는 것이다. 이 학회장은 "여성의 경제적 자립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여성의 결혼과 출산을 어렵게 만든다"며 지난 2004년 사라 맥라한 미국인구학회장도 이같은 지적을 내놓은 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인구소멸 갈림길 선 한국…280조 투입 저출산 정책 실패"
고령화의 경우에도 노인의 경제적 자립을 강조한 것이 가족으로부터 비자발적인 독립으로 이어졌다고 지적했다. 이 학회장은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의 노인 빈곤율과 자살률이 이를 보여준다"며 "외환위기 이전 한국의 자살률은 평균 이하 수준이었던 것과 대조된다"고 했다.

다만 이같은 위기를 기회로 삼아야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 학회장은 "미지의 사회에는 ‘주어진’ 정답이 없다"며 "미지의 영역에 가장 빠르게 진입하는 한국이 새로운 해답을 찾아 한국형 인구정책을 인구문제로 고민하는 비서구 국가들에게 제공하는 지식강국으로 부상할 기회"라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